KIST는 로봇·미디어연구소를 신설하고 세계적 수중로봇 전문가인 여준구 전 한국항공대 총장을 초대 소장으로 임명했다. KIST 제공
KIST는 로봇·미디어연구소를 신설하고 세계적 수중로봇 전문가인 여준구 전 한국항공대 총장을 초대 소장으로 임명했다. KIST 제공
미국에서 25년간 살다 돌아온 여준구 박사에게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한국에서의 두 번째 직장이다. 2006년부터 7년간 한국항공대 총장을 지내고 작년 KIST 책임연구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올해는 KIST에 새로 생긴 ‘로봇·미디어연구소’의 초대 소장을 맡게 됐다. KIST의 여러 연구실에 흩어져 있던 로봇과 미디어 연구를 한곳에 모아 집중 육성하기 위한 곳이다. 지난 2일 서울 하월곡동 KIST 사무실에서 만난 그는 “로봇보다 로봇기술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로봇·미디어연구소도 기업들이 잘 연구하지 못하는 로봇 원천기술 개발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실생활 속 로봇기술

여 소장은 “로봇기술은 이미 우리 생활에 널리 쓰이고 있다”고 말했다. 자동차가 후진할 때 ‘삑삑’ 소리를 내는 충돌 경고 시스템이 대표적이다. 로봇이 돌아다니면서 주변 물체와 부딪히지 않게 하려고 1980년대 개발된 기술이다.

자동차 내비게이션도 한 예다. 그는 “지금 자동차 내비게이션은 디지털 지도가 있어야 길을 찾지만 로봇 용도로는 지도가 없는 상태에서 길을 찾는 기술이 벌써 개발됐다”고 소개했다. 그동안 수술용 로봇과 교육용 로봇 등을 개발해 온 KIST는 로봇·미디어연구소를 통해 이런 로봇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로봇과 사람 간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선 미디어에 대한 연구도 필수적이다. 정규직 인원만 45명이고 학생과 인턴, 박사후과정 연구원을 합치면 200명에 이르는 대규모 연구소다. MIT미디어랩과 카네기멜론대의 로봇연구소 등을 벤치마킹했다. 그는 “핵심 연구 인력이 76명 수준인 카네기멜론대 로봇연구소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미국 건너가 대통령상까지

여 소장은 서울대 기계설계학과 77학번으로 국내 로봇 연구 1세대다. 한창 로봇 열풍이 불던 때였다. 미국에선 대형 로봇 전시회가 열리기도 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때도 로봇 연구는 과학자들의 선망의 대상이었다”고 그는 회상했다.

미국 오리건주립대에서 석·박사 학위를 받은 그는 미국 하와이주립대 기계공학과·정보전산학과 교수,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로봇 프로그램 디렉터(PD), NSF 동아시아 및 태평양지역 책임자를 거쳤다. 미국 대통령이 주는 젊은과학자상과 보잉사의 보잉교수상, 미국 공학회의 젊은교수상 등도 받았다.

그는 미국 해군에서 10년 동안 지원을 받아 6000m까지 잠수할 수 있는 수중로봇을 개발했다. 물속에서 움직이는 로봇은 개발 과정이 까다롭다. 6000m 물속은 지상보다 압력(수압)이 600배 강하다.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으로 위치를 찾을 수도 없다.

○부품산업 발달 뒷받침돼야

NSF에 있을 때 각국을 돌아다니며 ‘세계 로봇기술 수준평가사업’을 진행한 경험이 있는 여 소장은 “로봇기술 분야에서 한국은 아직 뒤떨어진 것이 사실”이라고 평가했다. 정부가 로봇 분야에 본격적으로 투자한 기간이 10여년밖에 되지 않은 것이 첫 번째 원인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로봇 개발에 나서고 있지만 깊이 있는 연구에까지 이르지 못한 것이 두 번째 이유다.

한국 부품산업이 선진국보다 발달하지 못한 점도 로봇산업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요인이다. 좋은 로봇 제품을 개발해 생산하더라도 부품을 수입해서 써야 한다면 가격 경쟁력을 갖기 힘들다.

임근호 기자 eig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