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정부가 중소기업제품과 농수산물 판매를 전담하는 홈쇼핑 채널 승인 계획을 내놨습니다.



정부 주도로 7번째 홈쇼핑 채널을 만들겠다는건데,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박상률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미래창조과학부(미래부)가 직접 관리·감독하고 운영하는 TV홈쇼핑 채널이 내년1월 출범합니다.



영세한 중소기업들의 홈쇼핑 입점을 돕기 위해, 각종 수수료를 낮춰 진입장벽을 최소화 한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이정구 미래부 방송진흥정책관

"공영TV 홈쇼핑 출범으로 공적목적 달성을 위해 출자자의 이윤배당을 금지하겠다. 채널 경쟁을 지양하고 승인심사를 통해 송출수수료 인하를 계획하도록 하겠다"



정부는 30%가 넘는 판매수수료율을 20%초반까지 낮추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나 플랫폼사업자(PP)에 제공하는 송출수수료에 대해서는 추후에 홈쇼핑 사업자가 결정하도록 했습니다.



TV 홈쇼핑 사업의 구조상 송출수수료를 적게 내면, 홈쇼핑 채널은 뒷 번호대를 배정받을 확률이 높아 시청자들의 외면을 받을 가능성이 큽니다.



<인터뷰> 황근 선문대 교수

"송출수수료만 대폭 늘지. 황금채널에 들어가려면 경쟁할 수밖에 없고, 그러기 위해선 송출수수료를 늘릴 수밖에 없다. `홈앤쇼핑` 등장해서 (송출수수료) 대폭 올랐다. 결국 플랫폼 사업자만 좋은 일이고"



5개사가 경쟁하던 홈쇼핑 업계의 송출수수료는 4천억 원 수준에서 `홈앤쇼핑`이 등장한 이후, 약 1조 원 수준으로 급증했습니다.



송출수수료 부담이 커지면 결국에는 소비자가 많이 찾는 제품의 판매를 높여 수익을 올릴 수밖에 없습니다.



일부 중소기업 제품들만 입점이 쉬워질 수 있어, 제품의 `양극화` 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 중소기업 제품이 꾸준히 입점을 할 수 있을지도 미지수입니다.



<인터뷰> 홈쇼핑 업계 관계자

"현실적으로 잘 팔리길 원하지 안 팔리는 상품 사고싶은 사람이 어디있겠냐?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안팔리는 상품 잘 팔리게 해달라는 거고 정부도 그러고 싶은데 안 나가는 상품 계속 틀어줄 수는 없지 않느냐"



정부가 운영과 관리를 맡는 공영TV 홈쇼핑.



성공적인 출범을 위해서는 보다 꼼꼼한 점검이 필요해 보입니다.



한국경제TV 박상률입니다.


박상률기자 srpark@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수지, 중국의상 가슴골 노출한 섹시 콘셉트? 첫사랑 이미지 어디 갔나
ㆍ김혜선 오는 13일 결혼, 기상캐스터 나윤희도 `눈길`…1등 신부감은 기상캐스터!
ㆍ로또 1등 당첨자, "자동은 미친짓이야!" 폭로!!
ㆍ19禁 어우동, `송은채` 누군가보니 "강은비"…예고편, 속살 드러내고 `아찔`
ㆍ`워킹걸` 클라라 vs조여정, 그녀들의 29금 `살색`전쟁 "애들은 가~"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