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에 '러버덕' 같은 '큰고니' 띄운다
서울시가 내년에 14억원을 들여 대형 큰고니(사진) 조형물을 한강에 설치한다. 2007년부터 해외 도시를 순회하면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러버덕’을 벤치마킹해 한강을 상징하는 조형물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시 고위 관계자는 “한강의 자연성 회복 상징인 큰고니(천연기념물 제201호)를 형상화한 조형물을 설치할 계획”이라며 “국제 공모과정을 거쳐 작가를 선정한 뒤 내년 10월까지 조형물 설치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26일 밝혔다.

전 세계 16개국을 순회하고 있는 ‘러버덕’을 벤치마킹한 조형물을 한강에 설치하는 방안을 검토하라는 박원순 서울시장의 지시에 따른 것이다. 네덜란드 출신 세계적 공공미술가인 플로렌타인 호프만이 만든 러버덕은 지난달 14일부터 한 달 동안 잠실 석촌호수에 설치돼 360만명의 관람객을 끌어들였다.

시 관계자는 “많은 시민이 조형물을 관람할 수 있는 공간으로는 한강이 최적”이라고 설명했다. 큰고니 조형물 규모는 높이 20m, 길이 30m 내외가 될 전망이다. 높이 26m, 길이 32m인 러버덕과 비슷한 규모다. 물 위에 떠 있고, 비에도 견딜 수 있도록 강화 플라스틱, 강화 비닐 및 특수고무로 만들 계획이다. 조형물이 하류로 떠내려가지 않도록 강바닥엔 고정 시설이 설치된다.

한강 어느 지역에 설치될지는 아직까지 결정되지 않았다. 서영관 한강사업본부 총무부장은 “밤섬이나 세빛섬 등 시민들이 많이 찾는 한강시민공원 등을 후보지로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큰고니 조형물 설치에는 디자인 설계 및 제작비를 합쳐 14억원의 예산이 배정됐다.

서울시가 대형 조형물을 설치하는 건 청계천에 있는 ‘스프링(Spring)’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민간 기부가 아닌 시 예산을 들여 대형 조형물을 만드는 건 사실상 큰고니가 첫 번째다. 앞서 서울시는 이명박 시장 재직 시절인 2005년 청계천을 복원한 뒤 청계광장에 세계적인 팝아트 미술가인 클래스 올덴버그가 제작한 ‘스프링’을 설치했다. 설치비는 34억원이 소요됐고, KT가 전액 지원했다. 하지만 다슬기를 형상화한 작품이 청계천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지적이 미술계 안팎에서 제기되면서 논란이 된 바 있다.

강경민 기자 kkm1026@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