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영화] 학살의 기록 '액트 오브 킬링'
영화 '액트 오브 킬링'은 1965년 인도네시아에서 자행된 양민 학살을 다룬 다큐멘터리다.

영화는 양민학살을 주도한 가해자가 학살을 다룬 극영화를 만들면서 느끼는 감정의 변화를 포착한다.

수하르토가 주도한 쿠데타가 발생한 1965년. 군은 '멸공'을 기치로 내걸고 100만 명이 넘는 공산주의자와 지식인, 중국인을 잔혹하게 살해한다.

당시 학살에 가담했던 안와르는 40년이 지난 뒤 당시 상황을 재현한 극영화를 만들자는 제안을 받고, 동료를 모은다.

안와르는 들뜬 마음으로 직접 시나리오도 쓰고, 연기도 하지만 영화를 찍을수록 밀려드는 죄책감에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영화는 잔인한 학살 장면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진 않는다.

대신 "빨리 처리하고 퇴근하자", "자식들이 보복할 수 없어요.

왜냐구요? 우리가 다 없앴으니까요" 같은 인터뷰를 통해 당시의 끔찍한 상황을 상상하게끔 한다.

"대작이 될 필요는 없어. 그냥 차근차근 이야기를 전하면 돼"라는 안와르의 연출 의도는 이 다큐멘터리를 제작한 조슈아 슈펜하이머 감독의 연출 의도와 일치하는 듯 보인다.

담담한 기조를 유지하는 이 영화는 안와르의 후회가 짙어지는 후반으로 갈수록 깊은 울림을 전한다.

"영화에서 사람을 멋있게 죽이는 방법들을 보고 그대로 따라했어요….내가 저지른 살인을 전부 다 잊으려고 애썼죠. 음악을 듣고, 춤을 추고, 술도 마시고, 마리화나도 피우며 즐겁게 살려고 했죠. 일단 취하면 기분이 날아갈 듯이 좋아요.

그런데 솔직히 영화가 이렇게까지 끔찍하게 보일 거라고는 전혀 예상치 못했어요…. 제가 정말 죄를 지은 건가요?"
영화는 안와르의 마음에 이는 미묘한 파장을 집요하리만큼 세밀하게 파고든다.

상영시간이 159분에 이르는 이유다.

전개가 느려 다소 지루한 측면이 있지만 한 나라에서 자행된 학살의 역사와 그 후폭풍을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감상할 만한 가치가 충분하다.

올해 영국아카데미 최우수다큐멘터리 상을 비롯해 70여 개 국제영화제에서 수상했다.

영국 영화전문지 '사이트 앤드 사운드'가 지정한 올해의 영화 1위, 영국신문 가디언이 선정한 올해의 영화 1위에 올랐다.

영국 출신 슈펜하이머 감독의 데뷔작이다.

수입사인 엣나인필름은 감독의 의도를 정확히 반영하고자 159분짜리 '감독판'을 상영한다고 밝혔다.

11월20일 개봉. 15세이상관람가.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buff27@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