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이 경영공백 상태에 놓인 가운데 계열사 사장단이 15일 비상경영대책회의를 열었다. 회의에 참석한 김덕수 KB국민카드 사장(맨 오른쪽), 이희권 KB자산운용 사장(오른쪽 두 번째), 남인 KB인베스트먼트 사장(맨 왼쪽) 등이 서울 명동 KB 사옥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KB금융그룹이 경영공백 상태에 놓인 가운데 계열사 사장단이 15일 비상경영대책회의를 열었다. 회의에 참석한 김덕수 KB국민카드 사장(맨 오른쪽), 이희권 KB자산운용 사장(오른쪽 두 번째), 남인 KB인베스트먼트 사장(맨 왼쪽) 등이 서울 명동 KB 사옥을 나서고 있다. 연합뉴스
KB금융지주 이사회가 15일 임영록 KB금융지주 회장에게 사실상 자진사퇴를 권고한 이유는 ‘조직 안정을 위해서’다. 금융감독원이 이날 임 회장을 검찰에 고발하면서 이사회가 임 회장을 감싸안는 모습을 보일 경우 이사들 개인적으로도 부담스럽다는 판단도 작용했다. 이사회는 임 회장이 끝까지 사퇴를 거부하면 17일 대표이사에서 해임하는 안건을 의결할 예정이다. 결국 임 회장의 자진사퇴는 초읽기에 들어간 분위기다.

◆KB, 내부서도 임 회장에 등 돌렸다

이사회가 임 회장을 ‘포기’한 이유는 우선 금융당국과의 관계에 대한 부담 때문이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지난 13일 이경재 KB금융 이사회 의장을 만나 임 회장에게 자진사퇴를 권고해 줄 것을 주문했다. 금융당국 수장이 직접 나선 상황에서 이사회가 거부할 경우 KB금융 전체에 만만찮은 후폭풍이 닥칠 가능성이 크다.

KB금융 자체 현안도 산적해 있다. 우선 이건호 전 국민은행장이 지난 4일 사퇴하면서 은행을 이끌어야 할 행장직이 열흘 넘게 공석이다. 행장은 지주사 회장 및 지주사 사외이사 2명 등 3명으로 구성되는 대표이사 추천위원회에서 결정되는데 임 회장이 직무정지 3개월 제재를 받은 상황이라 이대로라면 연말까지 후임 행장을 뽑을 수 없다. 이에 따른 영업력 훼손을 이사들이 책임져야 할 수도 있다.

금감원이 임 회장 등 KB금융 임직원 4명을 검찰에 고발한 것도 이사들에게 큰 부담으로 작용했다. 검찰은 이미 이 전 행장이 임 회장을 뺀 3명을 업무방해 혐의로 고발한 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에 이번 고발 사건을 추가 배당하고 병합수사키로 했다. 임 회장을 계속 감쌀 경우 검찰 수사 결과에 따라 이사들에 대한 법적 책임론까지 일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사회는 다만 수년간 호흡을 맞춰온 임 회장을 곧바로 해임하는 것이 부담스럽기 때문에 해임안을 상정하기 전 임 회장에게 자진사퇴 기회를 준 것으로 금융권은 보고 있다.

◆임 회장 버티면 결국 해임안 ‘카드’

이사회마저 자진사퇴를 권유함에 따라 임 회장의 사퇴는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게 KB금융 안팎의 관측이다.

그럼에도 임 회장이 사퇴하지 않을 경우 이사회는 ‘대표이사 해임’ 카드를 꺼낼 수밖에 없을 것으로 금융권은 보고 있다. 이사회는 17일까지 임 회장이 사퇴하지 않으면 해임안을 상정해 의결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사회가 임 회장을 대표이사에서 해임하더라도 이사직은 지킨다. 이사 해임을 위해서는 주주총회에서 발행주식 총수의 3분의 1 이상, 출석주식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 찬성을 얻어야 한다.

임 회장은 ‘출구’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임 회장의 한 측근은 “(임 회장이) 막판 고심 중”이라며 “해임을 당하는 것보다는 자진사퇴하는 것이 낫다는 주위 조언도 참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금감원, KB에 감독관 27명 파견

금융당국은 연일 임 회장에 대한 압박 수위를 높이고 있다. 이날 검찰 고발에 이어 지주사를 포함해 KB금융 10개 계열사에 감독관 27명을 파견했다. 지주사는 지난 12일 이미 7명의 감독관이 파견돼 임 회장에 대한 지주사 차원의 인적·물적 지원 여부 등을 감시하고 있다. 나머지 계열사에는 2~3명씩 감독관이 나가 상시 감시 및 현장 지도 업무를 수행한다. 감독관들은 KB금융 경영이 안정화 될 때까지 각 계열사에 상주한다.

김일규/장창민 기자 black0419@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