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 기동헬기 수리온이 의무후송전용헬기로 재탄생한다.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은 방위사업청과 의무후송전용헬기사업 계약을 체결하고 체계개발에 본격 착수한다고 5일 밝혔다.

의무후송전용헬기사업은 전시 및 평시 응급환자의 신속한 후송과 응급처치가 가능한 의무후송전용헬기를 신규 도입하는 사업으로 개발비용은 약 320억원, 양산비용은 2600억원 규모란 설명이다.

KAI는 의무후송전용헬기의 개발을 2016년까지 마치고, 2018년부터 전력화를 시작해 2019년 완료할 계획이다. 국내에서 의무후송전용헬기가 개발 및 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최대 6명까지 동시 후송이 가능한 의무후송전용헬기는 기동헬기로 개발된 수리온을 기반으로 다양한 의무후송 장비를 추가해 원활한 임무수행이 가능하도록 개발된다.

수리온에 장착된 전방감시 적외선 장치(FLIR), 자동비행조종 장치 외에 기상 레이더, 지상충돌 경보장치 등을 더해 악천후 및 야간 임무 수행 능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 제자리 비행능력이 뛰어난 수리온에 외부장착형 환자인양장치를 추가해 헬기 착륙이 어려운 산악지형과 도서지역에서도 원활한 의무후송이 가능하며, 장거리 임무 수행을 위한 탈부착식 보조연료탱크도 탑재된다.

이밖에 들것받침장치 산소공급장치 의료용흡인기 환자감시장치 심실제세동기 인공호흡기 등 다양한 첨단 응급의료장비들이 적용된다.

경찰청헬기 상륙기동헬기에 이어 의무후송전용헬기도 수리온을 기반으로 개발이 결정됨에 따라 군이 도입을 검토 중인 해상작전헬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2011년 군은 긴급소요 전력 요구에 따라 1차로 해외 직도입을 결정했다. 현재 2차 도입분에 대해 수리온을 기반으로 한 국산 헬기 개발을 검토 중이다.

KAI는 수리온 파생형헬기 개발을 통해 국내에서 운용 중인 약 400여대의 외국산 군·관용헬기 대체와 300여대의 수출을 목표하고 있다.

국산헬기 수리온이 다양한 파생형 헬기 개발로 이어질 경우 외화 유출 방지와 동일 플랫폼 사용에 따른 장기 운용유지비 감소 등 국방 예산 절감은 물론 수리부속 공급, 정비 등의 외국산 헬기 운용의 문제점도 해결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경닷컴 한민수 기자 hm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