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경제연구원이 29일 발표한 ‘성장 없는 고용, 고용 없는 저성장의 경고등’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취업자 1인당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글로벌 금융위기(2008년) 이전인 2001~2007년 연평균 3.3%에서 위기 이후인 2011~2013년 1.1%로 2.2%포인트 하락했다.
취업자들의 평균 근로시간이 줄어든 영향을 감안해 근로시간당 노동생산성을 따져봐도 결과는 마찬가지였다. 위기 이전 연평균 4.5%였던 노동생산성 증가율은 위기 이후 1.9%로 2.6%포인트나 떨어졌다.
또 글로벌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하락한 정도를 국가별로 비교해본 결과 한국의 하락폭(-2.2%포인트)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4개 회원국 가운데 12번째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다 정도가 심한 나라는 에스토니아 터키 체코 등 소득 수준이 높지 않은 동유럽 국가였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세계 교역량 감소로 한국 수출제조업의 성장속도가 떨어진 것이 전체 노동생산성 증가율을 낮춘 주요 원인으로 분석됐다. 실제 2000년대 들어 연평균 8%(부가가치 기준)대를 유지했던 제조업 성장률은 금융위기 이후(2011~2013년) 평균 4.2%로 크게 하락했다. 특히 생산성이 가장 빠르게 상승했던 전기·전자산업의 성장세가 대폭 낮아진 점이 전체 생산성 둔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고령자나 여성의 취업 확대도 노동생산성 향상으로 이어지지 못했다는 분석이다.
마지혜 기자 look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