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의 절반가량은 올해 노조와의 임금·단체협상이 작년보다 어려울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또 대기업 10곳 중 8곳가량은 임·단협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노조의 통상임금 범위 확대 요구’를 꼽았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최근 매출액 상위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올해 임·단협 전망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를 21일 발표했다. 설문조사에는 123개 대기업이 응답했다.

조사 결과 46.3%가 올해 임·단협이 ‘작년보다 어려울 것’이라고 답했고, ‘작년과 비슷할 것’이란 응답은 40.7%였다. ‘비교적 원만하게 끝날 것’이란 답변은 13%에 불과했다.

임·단협 난항을 예상한 기업을 대상으로 그 이유를 물어본 결과 77.2%의 기업이 ‘노조의 통상임금 범위 확대 요구’라고 답했다. 이와 관련, 최근 한국GM 사측이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포함하는 협상안을 내놓으면서 자동차노조 및 금속노조를 중심으로 비슷한 요구가 쏟아지는 상황이다.

뒤를 이어 ‘노조의 임금 인상 및 복지수준 확대 요구’(15.8%), ‘노조의 근로시단 단축 및 임금 보전 요구’(14%) 등 주로 노사관계 법·제도 변화와 관련한 사안들이 임·단협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꼽혔다.

임·단협 타결까지 걸릴 기간에 대해선 ‘3개월 이상’이 51.2%로 가장 많았다. ‘예측 불가능’이란 응답도 19.5%에 달했다. ‘1~2개월 정도 걸릴 것’이란 의견은 19.5%였다.

이철행 전경련 고용노사팀장은 “통상임금 문제 때문에 르노삼성 등 자동차노조들이 파업을 결의하고, 19년간 무분규 타결을 해왔던 조선업계 분위기도 심상찮다”며 “경기침체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들이 통상임금 문제를 놓고 노조와 줄다리기를 해야 하는 부담을 지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