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올해 한국의 국가경쟁력을 작년보다 4계단 낮은 26위로 발표한 지난 21일 밤.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가 낸 보도자료에는 작년엔 없던 색다른 설명이 곁들여졌다.

이번 평가에 활용된 통계지표 220개 중 66%인 146개가 작년보다 순위가 올랐거나 동일한 반면 설문지표는 118개 중 72%인 85개가 하락했다는 것.

기재부 관계자는 “국내 기업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급 3000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설문에서 실제 응답자는 73명뿐”이라고 말했다. 객관적인 지표는 괜찮지만 극소수 응답자의 주관적 평가가 나빠 국가경쟁력 순위가 하락했다는 ‘항변’이다. 이런 지적이 아주 일리가 없는 것은 아니다. IMD의 설문지표는 과거부터 응답자 수가 적을 뿐 아니라 설문 문항도 부실한 경우가 많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정부의 행보를 보는 시각이 곱지만은 않다. 국가경쟁력 순위가 유리할 땐 잠자코 있다 불리해지면 조사의 신뢰성을 걸고 넘어질 때가 많다는 것이다. 지난해 순위가 22위를 기록했을 때 기재부는 “어려운 경제 여건에서도 1997년 이후 최고 수준인 22위를 3년 연속 유지했다”고 자평했다.

주용석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