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마트(대표 노병용)가 햇반으로 대표되는 즉석밥 시장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롯데마트는 이천 농협, 김포 농협 등 유명 쌀 산지 농협과 중소제조업체인 한국바이오플랜트와 손잡고 이달 17일부터 롯데마트 전점에서 ‘드시던 쌀 그대로 즉석밥’ 4종을 출시한다.

대표적인 품목으로 ‘햇쌀 한공기 즉석밥(210g*6입)’을 3600원에, 프리미엄급 즉석밥으로 ‘이천쌀 즉석밥(210g*4입)’, ‘고시히카리 즉석밥(210g*4입)’, ‘통큰오곡미로 만든 즉석밥(210g*4입)’을 각 5000원에 판매한다.

‘햇쌀 한공기 즉석밥’의 가격은 즉석밥의 대표격인 CJ 햇반(210g*8입)이 롯데마트에서 정상가 1만150원에 판매되고 있는 것과 비교해 개당 가격이 절반 이하 수준이며 현재 행사가격인 7600원과 비교해도 30% 이상 저렴한 가격이다.

이 밖에 ‘이천쌀’, ‘고시히카리’ 등 프리미엄급 즉석밥 상품도 일반 브랜드 상품의 프리미엄급과 비교했을 때 30% 이상 저렴한 수준이다.

롯데마트가 이처럼 반값 수준의 즉석밥을 선보이는 까닭은 기존 유명 브랜드가 독점하다시피 하던 시장 구조를 깨 소비자 체감 물가를 낮추는 한편 농민, 중소제조업체와 동반성장을 하기 위해서다.

시장조사업체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1~10월 국내 즉석밥 시장은 CJ제일제당(64.4%), 오뚜기(23.5%), 농심(7.9%), 동원F&B(2.9%)가 98.7%를 차지하고 있다. 상위 2개사만의 점유율 합계도 87.9%에 달한다.

공급자 영향력이 막강하다보니 자연스레 소비자들의 상품 선택 폭과 가격 메리트는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CJ제일제당은 2012년 8월, 농심은 올해 2월 즉석밥 가격을 7~10% 가량 인상했다.

특히 고령화, 1인 가구 확대, 현대인의 식습관 트렌드 변화 등으로 즉석밥은 나들이를 갈 때 사는 ‘밥의 보완재’가 아니라 즉석밥을 일상으로 먹는 ‘쌀의 대체제’로 생필품화 돼 가고 있다.

실제로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쌀 소비량은 67.2kg으로 전년 대비 3.2% 감소했으며, 2001년 90kg 이하로 떨어진 이후 지속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가공식품에 사용되는 쌀 소비는 2011년 32만 4000톤, 2012년 34만 3000톤에서 지난해 41만 2000톤으로 급격하게 증가했으며 롯데마트에서도 즉석밥 매출은 지속 신장세다.

이에 롯데마트는 이번 즉석밥 출시를 통해 소비자 물가부담을 낮추는 한편 즉석밥을 구매할 때도 쌀을 구매할 때처럼 산지와 품종을 소비자가 직접 보고 선택할 수 있도록 쌀 정보 제공에 주력했다.

이번에 출시하는 즉석밥인 ‘햇쌀 한공기’, ‘이천쌀’, ‘고시히카리’, ‘통큰오곡미’ 는 현재 롯데마트 매장에서 실제로 판매되고 있는 쌀이다.

현재 유명 브랜드 상품은 산지 구분 없이 ‘멥쌀’이라는 표기만 하고 있어, 산지와 품종을 확인하기 어렵지만 롯데마트 즉석밥의 경우 브랜드 쌀과 동일한 상품 패키지를 띄고 있어 쌀을 고르듯 즉석밥을 고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롯데마트가 즉석밥 제조 물량까지 합쳐서 산지 농협의 쌀을 구매하기 때문에 농민은 기존 롯데마트 납품분보다 최대 2배 가량 많은 물량을 판매할 수 있어 추가 소득을 올릴 수 있다.

이렇게 추가 구매된 쌀은 즉석밥 중소제조업체인 ‘한국바이오플랜트’의 공장으로 옮겨져 롯데마트 전용 라인을 통해 제조에 들어간다. 한국바이오플랜트는 2009년부터 즉석밥 관련 기계 설비 연구를 시작해, 즉석밥 납품처를 점차 확대해가며 지난해 말에는 한 대형마트와 납품 계약을 체결하는 등 품질을 인정받고 있다.

롯데마트는 지난 3월 20억원 규모의 설비 투자 선급금을 지급하며 물량을 단계적으로 늘려 나가는 등 중소제조업체와 동반 성장할 수 있는 기틀도 마련했다.

오경운 한국바이오플랜트 대표는 "롯데마트와의 협업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확보해 대기업 위주의 즉석밥 시장에 돌풍의 핵으로 떠오를 것"이라는 포부를 밝혔다.

롯데마트가 올해 매입할 쌀의 양은 5만5000톤 가량으로, 여기에 즉석밥 제조 물량 3000톤을 추가로 포함하면 5만8000톤 가량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롯데마트는 올해 쌀 관세화 유예 종료로 내년부터 쌀 시장 개방이 예상되는 만큼 국내 쌀 농가 소득 보전을 위해 ‘즉석밥용 추가 쌀 매입’을 전체 쌀 매입 물량의 50% 수준까지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더불어 전국 108개 점포 중 잠실점, 서울역점 등 50여개 점포에서는 기존 가공식품 매장에서 판매하던 즉석밥 진열 위치를 양곡 매장으로 통합해 판매하며 향후 점진적으로 전 점 진열을 바꿔나갈 계획이다.

남창희 롯데마트 상품본부장은 "’드시던 쌀 그대로’ 즉석밥은 쌀처럼 산지와 품종을 따져가며 구매할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즉석밥"이라며 "가격은 반값으로 농민, 중소제조업체, 유통업체, 소비자 모두 윈윈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말했다.

한경닷컴 정형석 기자 chs8790@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