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銀 민영화, 대주주 찾아주기냐 분산매각이냐…연기금 참여…지분 나눠갖는 체제 유력
정부가 우리은행 지분 30% 이상을 단일 대주주에 일괄매각할지, 3~5곳의 과점주주에 분산매각할지를 놓고 장고를 거듭하고 있다. 금융권에선 우리은행 민영화의 성사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연기금을 포함한 과점주주체제’를 염두에 둔 분산매각 방안으로 가닥이 잡힐 것이란 예상이 나오고 있다.

◆연기금·금융사 등에 분산매각 유력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최근 잇따라 간담회를 갖고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을 논의했으나 구체적인 결론을 내지 못했다. 이에 따라 민영화 관련 용역을 맡은 금융연구원이 최근 정부에 보고한 방안별 장·단점을 바탕으로 오는 26일께 공청회를 열고 외부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을 거치기로 했다.

공자위는 일단 우리은행의 경영권 매각이 가능한 지분 30% 이상을 판다는 원칙을 정했다. 5조~6조원에 달하는 우리은행 지분 56.97%를 모두 팔려고 할 경우 살 곳이 마땅치 않다는 판단에서다. 먼저 30%를 매각한 뒤 나머지 지분 26.97%는 블록딜(대량 매매)을 통해 파는 식이다.

한 공자위 위원은 “정부의 우리은행 지분 56.97%를 일괄매각할 경우 유효경쟁이 이뤄지기 쉽지 않고, 제값을 받기 힘든 국민주 및 블록딜 방식도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에 맞지 않는다는 의견이 많아 사실상 배제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그는 “일단 우리은행의 경영권 매각이 가능한 지분 30% 이상을 판다는 기본 원칙을 세우고 특정 대주주에 지분을 넘길지, 분산매각(과점주주)할지 등을 놓고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다만 지분 30%를 단일 주주 한 곳이 사기 쉽지 않다고 판단되면 과점주주체제를 염두에 둔 매각 방안을 고려하게 될 것”이라며 “과점주주들이 나중에 컨소시엄을 구성하면 공동경영권을 주는 방안도 생각해 볼 수 있다”고 밝혔다.

특히 공자위는 국민연금 등 연기금을 일부 과점주주로 끌어들이는 방안을 구상 중이다. 공자위 관계자는 “연기금이 과점주주로 참여할 경우 다른 전략적 투자자(금융회사)에 경영권을 위탁하고 주주로서의 권한만 행사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수후보 간 합종연횡 예상

정부가 우리은행의 단일 대주주를 두기 위해 지분 30%를 일괄매각할 경우 입찰 대상은 금융지주나 개별 금융회사(재무적 투자자를 끌어들인 컨소시엄 포함)가 된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이 강조해 온 대로 우리은행의 새 주인을 찾아준다는 민영화 취지에 부합한다. 다만 지분 30%를 인수하려면 3조~4조원의 인수 자금이 필요해 마땅한 인수 후보를 찾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지분 30% 이상을 4~15%가량 3~5곳의 회사에 나눠 파는 분산매각의 경우엔 매각 성사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높다. 다만 금융사들이 경영권 없는 지분을 인수하기 위해 큰돈을 들일 가능성이 작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우리은행 민영화 방안이 결정되면 인수후보들 간의 합종연횡이 일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인수후보로는 교보생명, 한국투자금융지주, 미래에셋금융지주, KB금융지주 등이 거론된다. 우리은행 민영화 작업은 올 6월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창민 기자 cm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