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홈페이지를 통해 고객 1200만명의 정보가 유출되는 해킹사건이 알려지면서 충격을 주고 있다.

KT는 지난 4분기 적자전환으로 신용등급이 강등된데 이어 지난달에는 계열사 직원이 연루된 대규모 대출 사기사건까지 터졌다. 또 정부가 이통 3사에 '불법 보조금' 경쟁을 벌인 책임을 물을 예정이어서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KT, 2년만에 또 개인정보 유출…영업정지 앞두고 '겹악재'
6일 금융감독원 등에 따르면, KT는 지난해 영업이익이 8393억원으로 작년 대비 30% 가량 쪼그라 들었다. 지난해 4분기는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모두 적자 전환했다.

이에 따라 국제신용평가기관인 무디스는 지난달 초 KT의 신용등급을 'A3'에서 'Baa1'로 한단계 강등했다. 신용등급 강등은 기업의 자금조달 비용 증가로 연결돼 결국은 경영에 부담이 된다.

지난달 6일에는 자회사인 KT ENS의 영업담당 직원과 7개 협력업체 등이 공모해 금융권으로부터 3000억원을 사기 대출받은 사건이 불거졌다. 이들은 대출에 필요한 서류를 위조해 제출하는 수법으로 2008년 5월부터 2014년 1월까지 은행 16곳을 상대로 463회에 걸쳐 모두 1조8335억여원을 대출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이 사건은 발생 초기 KT ENS 직원이 주범처럼 부각되면서 KT의 회사 이미지에 타격을 입혔다. 여기에 KT는 2년 만에 홈페이지 해킹 사고를 또 당하면서 신뢰도가 무너지고 있다.

KT는 경찰이 수사결과를 발표할 때까지 개인정보 유출 사실을 제대로 탐지하지 못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KT는 한 가지 악재를 더 앞두고 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과도한 보조금 지급 경쟁을 중단하라는 정부의 시정명령을 무시한 책임을 물어 이르면 7일 이통 3사에 대해 45일 이상의 사업정지 처분을 내릴 방침이다.

영업정지와 달리 사업정지는 최소 45일이상 가입자 모집이 금지된다. 신규가입과 함께 기기 변경까지 제한되면 영업에 큰 타격을 줄 전망이다.

한편, KT는 "이번 사건은 전문 해커가 주도한 사건으로 범인들은 홈페이지를 해킹, 개인정보를 유출한 것으로 경찰이 밝혔다"며 "KT는 정보 유출경위에 대해 경찰조사에 적극 협조해 사실 관계를 확인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