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대기업의 해외매출에서 IT·전기전자와 석유 화학, 자동차, 철강, 조선, 건설 등 수출주도형 6대 주력 업종이 94%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금융, 통신, 운송, 유통 등은 해외시장 개척에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매출 비중에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2011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국내 500대 기업의 해외 매출 비중을 조사한 결과 지역별 매출 실적을 공개한 133개사 19개 업종의 지난해 3분기 누적 해외 매출은 450조원에 달했습니다.

이 중 94.1%인 424조2천억원을 수출주도형 6개 업종이 올린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6개 업종 가운데 해외 매출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은 IT전기전자로 2011년 82.2%에서 83.7%로 1.5%포인트 높아졌습니다.

자동차와 부품은 같은 기간 해외 매출 비중이 1.6%포인트 상승한 60.2%를 기록했습니다.

현대차(56.6%)와 현대모비스(63.1%)가 각각 6.4%포인트, 5.9%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건설(38.6%), 조선·기계·설비(26.8%), 철강(22.4%) 등은 해외 매출 비중이 절반에 미치지 못했지만 2011년에 비해선 5∼7%포인트나 높아졌습니다.

석유화학 업종 역시 37.3%로 0.5%포인트 상승했습니다.

보험·증권·통신·운송·유통·식음료·제약 등 내수 업종의 해외 매출 비중이 미미했을 뿐만 아니라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룹별로는 삼성의 해외 매출 비중이 71.9%(지난해 3분기 기준)로 가장 높았고 이어 LG 68.7%, 금호아시아나 65.2%, 에쓰오일 61.2% 순이었습니다.

이어 두산(58.5%), 현대자동차(56.6%), 포스코(55.5%)도 해외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고 SK(48.9%)도 50%에 육박했습니다.

기업별로는 IT·전기전자 업종 회사들이 1∼4위를 휩쓸었습니다.

SK하이닉스가 해외 비중 92.5%로 1위를 차지했고 셋톱박스 업체인 휴맥스 90.9%, LG디스플레이 89.5%, 삼성전자 89.3% 순이었습니다.

이어 대우인터내셔널(88.9%), 카프로(82.6%), S&T모티브(79.3%), 성우하이텍(77.4%), 삼성엔지니어링(76.3%), LG전자(74.3%) 등이 해외비중 `톱10`에 들었습니다.

2011년 이후 지난해 3분기까지 3년 새 해외 매출 비중이 가장 많이 증가한 기업은 자동차부품 업체인 성우하이텍으로 5.9%에서 77.4%로 71.5%포인트나 급증했습니다.

이밖에 풍산 46.8%포인트, S&T모티브 36.1%포인트, 인탑스 19.6%포인트 순으로 증가폭이 컸습니다.

이밖에 한화(18.2%포인트), 대림산업(18.1%포인트), 한국전력기술(15%포인트), 포스코ICT(14.9%포인트), KCC건설(14.6%포인트), 현대건설(13.3%포인트) 등도 해외매출을 대폭 늘린 기업들이었습니다.

반대로 대한항공(0.1%), 한국남부·남동발전·KT·신도리코(0.2%) 삼성생명보험(0.3%), 대성산업(0.8%), 롯데푸드(1%) 등은 1% 이하로 해외 비중이 매우 낮았습니다.

또 호텔신라(1.1%), LIG손해보험(1.2%), 현대증권(1.3%), 우리투자증권(1.5%), 녹십자(1.5%), 미래에셋증권·남양유업(1.8%) 등 금융과 생활·유통·제약 업종 기업들이 대체로 미미한 해외 매출 비중을 보였습니다.

박주근 CEO스코어 대표는 "수출주도형 한국 경제에서 IT전기전자, 자동차, 석유화학 등 6개 업종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며 "이들 업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와 신수종 사업 발굴을 위해서라도 대기업들의 적극적인 투자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박영우기자 ywpark@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15억 채무` 박효신, 일반회생절차 실패...뭐가 남았나?
ㆍ쇼트트랙 왜 5명, 우리나라 시상대에만? 이유 알고보니 `아하`
ㆍ아무리먹어도 날씬한여성! 알고보니
ㆍ경주 마우나리조트 붕괴 사고, 부산외대 학회장 후배 구하려다 끝내...
ㆍ[2014 GFC] 신제윤 "한국경제, 미 테이퍼링 영향 제한적"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