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가계의 부채상환 능력이 더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경제연구원이 16일 발표한 ‘가계부채의 특징과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저소득층(중위소득 50% 미만)의 금융대출 잔액은 2012년 2578만원에서 2013년 3667만원으로 42.2% 급증했다. 가처분소득은 934만원에서 884만원으로 5.4%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저소득층의 원리금 상환액을 가처분소득으로 나눈 채무상환비율은 지난해 56.6%에 달했다. 2012년 42.6%에서 14.0%포인트 오른 것이다. 가처분소득 대비 금융대출잔액은 276.0%에서 414.8%로 급등했다. 가처분소득을 모두 원금상환에 사용해도 4년 이상 걸린다는 의미다.

저소득층의 부채 증가 요인으로는 생활비(52.1%)가 가장 많이 꼽혔고 교육비(26.1%), 부채상환(9.0%) 등이 뒤를 이었다. 이와 달리 고소득층(중위소득 150% 이상)에선 부동산 구입(35.2%)이 빚 증가의 최대원인이었다. 김광석 선임연구원은 “고소득층은 투자 때문에, 저소득층은 생계 때문에 빚을 늘린 것”이라며 “저소득층은 부채 부담이 늘면서 연체가 늘고 이자지급비용은 더 가파르게 증가한다”고 우려했다.

고소득층 가계는 부채축소(디레버리징)에 나선 것으로 분석됐다. 고소득층의 이자부담은 1년간 3.8% 감소했다. 김 선임연구원은 “향후 가계부채 부담이 완화될 가능성이 높지만 취약계층이 문제”라며 “정부가 소득계층별 특성에 맞춰 가계부채 연착륙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