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시각은 "기술 창조성 인정…체세포 복제했는지 여부는 별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처형 5T국제특허법률사무소장은 미국 특허청의 특허등록 결정에 대해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에 대한 진위 판단을 했다기보다는 그런 줄기세포가 존재한다는 것을 전제로 황우석 전 교수팀이 주장한 기술의 창조성과 진보성을 인정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특허청 심사관은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가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판단할 근거가 없기 때문에 진위보다는 기술의 진보성 등을 판단한 것”이라며 “인간배아줄기세포 복제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증명하는 것은 황 전 교수의 과제”라고 말했다.
실명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한 특허전문 변리사도 “특허 등록은 진실 여부를 따지는 논문 심사와는 다르고 기술의 창조성과 진보성을 인정했다는 의미로 봐야 한다”며 이 소장과 같은 취지로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황 전 교수가 미국 특허 등록을 계기로 명예를 회복할 계기를 얻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그가 체세포 복제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다시 만들 수 있다면 앞으로 독점권을 갖고 관련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국내 상장 바이오업체의 A사장은 “과학적으로 판단했을 때 최소한 유전자 치환 세포라는 점은 인정해준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박수진/김형호 기자 psj@hankyung.com
그는 “미국 특허청 심사관은 체세포 복제 배아줄기세포가 가능한지 불가능한지를 판단할 근거가 없기 때문에 진위보다는 기술의 진보성 등을 판단한 것”이라며 “인간배아줄기세포 복제를 재현할 수 있는지를 증명하는 것은 황 전 교수의 과제”라고 말했다.
실명을 밝히지 말아 달라는 한 특허전문 변리사도 “특허 등록은 진실 여부를 따지는 논문 심사와는 다르고 기술의 창조성과 진보성을 인정했다는 의미로 봐야 한다”며 이 소장과 같은 취지로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황 전 교수가 미국 특허 등록을 계기로 명예를 회복할 계기를 얻었다는 것은 분명한 사실”이라며 “그가 체세포 복제 인간배아줄기세포를 다시 만들 수 있다면 앞으로 독점권을 갖고 관련 사업을 진행할 수 있다는 의미”라고 말했다.
국내 상장 바이오업체의 A사장은 “과학적으로 판단했을 때 최소한 유전자 치환 세포라는 점은 인정해준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박수진/김형호 기자 psj@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