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공동학술대회] "한국교과서, 美보다 창의성 교육에 미흡"
한국의 경제교육이 학생들의 창의성을 북돋우는 데는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병민 서울대 교수는 11일 ‘2014 경제학 공동학술대회’에서 발표한 ‘한국과 미국의 경제 관련 중등교과서 교과내용의 창의성 비교연구’ 논문에서 이 같은 연구결과를 내놨다. 미국(프렌티스홀)과 한국(교학사) 중·고교에서 활용하는 경제교과서를 비교했더니 관련 사례와 개념 설명에서 큰 차이가 났다는 설명이다.

두 교과서 모두 경제학의 기초인 ‘기회비용’ 개념을 앞부분에서 설명했다. 한국 교과서는 기회비용 설명에 이어 명시적 비용, 암시적 비용 등 추가적인 내용을 소개하는 데 많은 분량을 할애했다. 기회비용을 숫자로 계산하는 데 중점을 뒀다.

반면 미국 교과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소비하기 위해 선택을 해야 하고, 이는 다른 유익한 선택을 포기하게 만든다’는 점을 계속 강조했다. 논문은 “미국 교과서는 합리적 선택의 과정에 초점을 둬 학생들이 다양한 사고를 하도록 만든다”고 평가했다.

기회비용을 보여주는 예시도 미국 교과서가 풍부했다. ‘계속 잘 것인가, 일찍 일어나 스키를 탈 것인가’와 같은 개인적인 사례 외에도, ‘우유공장 건설과 무기 생산 중 무엇을 택할 것인가’ 등 기업, 사회, 국가적 차원의 생각거리를 던져줬다.

반면 국내 교과서는 ‘빵과 아이스크림’ ‘짜장면과 칼국수’ 가운데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를 예시로 삼았다. 논문은 “국내 교과서는 단순한 일상의 개인 사례를 주로 제시해 기회비용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주어진 틀에서 정해진 유형을 공부하는 ‘수직적 사고’의 단면이라는 지적이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