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있는 장관론' 여권 일각서 제기, 친박 정치인들 하마평

지난 주 전격 경질된 윤진숙 전 해양수산부 장관의 후임 인선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6일 박근혜 대통령이 정홍원 국무총리의 해임 건의를 받아들여 윤 전 장관을 해임한 뒤, 청와대가 곧바로 후임자 물색에 나선 것으로 알려지면서 인선이 의외로 빨라지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여수 원유유출 사고 수습이 시급하고 갑작스럽게 수장이 낙마해 동요하는 해수부의 조직을 안정시키는 것도 절실한 상황이어서다.

6·4 지방선거전이 격화되기 전 인선이 완료돼야 야당의 청문회 공세를 견디기 다소 수월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된다.

연구원 출신인 윤 전 장관이 잇단 실언과 정무감각 부재에 시달렸던 점을 고려하면 후임 인선에서는 정무감각과 행정 능력, 조직장악력 등이 두루 고려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체적이다.

특히 여권 일각에서 박 대통령의 의지로 5년만에 부활한 해수부에 '힘 있는 장관'이 와야 한다는 논리가 흘러나오고 있다.

한 인사는 "해수부 최고 역점사업인 부산항 일대의 해양경제특별구역 지정을 골자로 한 해양경제특별구역법의 입법이 기획재정부 등 이해관계 부처에 대한 설득에 실패하면서 표류하고 있다"며 "힘 있는 장관이 와 이런 역점사업들을 관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이런 배경에서 4선 중진으로 부산에 지역구를 둔 친박(친박근혜)계 새누리당 서병수 의원과 해양전문 변호사 출신인 3선의 유기준 의원의 이름이 나온다.

다만 이들은 공교롭게도 각각 부산시장과 원내대표 출마 후보로도 거론되고 있는 인사들이다.

인천 출신으로 '바다와경제 국회포럼' 공동대표인 재선의 박상은 의원, 역시 재선으로 농어촌공사 사장을 지낸 홍문표 의원 등이 하마평에 올라있다.

이들 정치인 출신은 선거와 공직자 재산공개 등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도덕성 검증이 된 측면이 있어 청문회 대처가 용이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박 대통령이 고위직의 전문성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조직안정과 업무능력을 고려한 내부인사 발탁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해양수산 분야 관료나 전문가 출신 중에는 손재학 현 해수부 2차관이 조직 안정 차원에서 승진 발탁할 수 있다는 관측과 함께 한국해양수산개발원장·해수부 차관을 역임한 홍승용 덕성여대 총장, 해수부를 거쳐 전임 정권에서 국토해양부 2차관을 지낸 주성호 한국해운조합 이사장, 이종구 수협 회장 등의 이름이 거론된다.

이 밖에 윤 전 장관의 낙마 이후 여성 각료는 조윤선 여성가족부 장관밖에 남지 않는다는 이유로 해양수산 분야의 여성 전문가가 낙점받을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서울연합뉴스) 박성민 기자 min22@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