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1>

신흥국발 금융위기 재연 가능성에 대한 월가 전문가와 외신 반응 살펴보겠습니다.



보도국의 이인철 기자 전화연결돼 있습니다.



이인철 기자, 외신들은 신흥국발 제2위기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다구요 ?





<기자>

전문가들은 현재 일부 신흥국의 통화 불안과 1997년 외환위기 당시를 연상케 하지만 신흥국발 금융 위기 확산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경계했습니다.



파이낸셜타임스(FT) 현재의 상황과 1997년 외환위기의 유사점은 그다지 많지 않다고 분석했습니다.



외환위기 당시에는 태국 바트화 폭락이 아시아 국가로 빠르게 확산되면서 위기가 전이됐지만 이번 아르헨티나의 페소화 급락은 일부 경제가 취약한 신흥국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글로벌 금융시장으로 확산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는 얘기입니다.



이번 아르헨티나 위기는 인플레이션, 보유 외환 고갈 등이 겹치면서 나타난 특수한 경우로 당시 뼈아픈 실패를 경험한 여타 신흥국들은 충분한 외환보유액을 쌓은 것도 차이점입니다.



미국의 대표적인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도 최근 일부 신흥국의 통화가치 급락에도 불구 장기적으로 기회는 신흥시장에 있을 것이라며 신흥국 자산에 대한 매수 의견을 유지했습니다.



다만, SG증권은 미 연준 통화정책의 불확실성 및 중국 성장 둔화 가능성 등은 신흥국에게 잠재적으로 큰 위험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번 위기를 촉발한 아르헨티나 정부도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아르헨티나의 페소화 가치는 지난 23일(현지시간) 하루에 11% 폭락하는 등 달러당 8페소 수준까지 떨어지자 아르헨티나 정부는 페소화 급락 속에 미 달러화 매입 규제 완화를 발표했습니다.



달러 매입 시 세금을 35%에서 20%로 인하하고 저축 목적의 달러화 매입을 허용한다는 게 주요 내용으로, 이번 주부터 시행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만에 하나 있을지 모를 사태에 대비한 국제기구의 움직임도 가시화되고 있습니다.



국제통화기금, IMF가 통화 가치 급락으로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는 아르헨티나를 지원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혀 아르헨티나 사태가 브라질 등 인근 신흥국으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앵커2> 일부에서는 신흥국 위기의 본질은 미국의 출구전략과 중국 경기 둔화에서 비롯됐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구요 ?





<기자>

위기의 원인은 미국의 출구전략과 중국의 경기 성장 둔화라는데 이견이 없습니다.



지난해 5월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이사회 의장이 출구전략을 언급한 것을 기점으로 그동안 풀렸던 선진국 통화가 신흥국에서 빠르게 빠져나가면서 일부 신흥국들의 통화 가치가 급락하는 등 미국 테이퍼링의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다는 얘기입니다.



또한 원재재 블랙홀인 중국은 경기 성장보다는 내수에 치중하면서 예전처럼 원자재 수요가 늘지 않고 있다는 점도 원자재 의존도가 높은 아르헨티나 등 신흥국들의 불안을 부추기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신흥국 통화 투매는 5년 만에 가장 심각한 수준이라는 분석입니다.



특히 남미의 아르헨티나는 연준의 테이퍼링과 중국 경제 둔화 충격 요인 이외에도 연간 25%에 달하는 인플레이션을 잡지 못하면서 페소화 가치가 날개 없는 추락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신흥국들의 정치적 불확실성도 위기설을 키우는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터키는 3월과 8월, 인도네시아는 4월과 7월, 남아공은 올 2분기 중에 각각 선거를 앞두고 있고 인도와 브라질도 연내 선거가 예정돼 있습니다.



터키, 인도네시아, 남아공, 인도 선거는 정권교체 가능성이 높아 불확실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입니다.



따라서 이런 대내외적인 불확실성이 상존해 있는 만큼 미국의 출구전략 속도에 따라 글로벌 변동성이 커질 가능성은 여전합니다.





<앵커3>

그렇다면 미국이 이번주 올해 첫 공개시장위원회 회의결과가 중요한데요. 예고된 양적완화 축소에 따른 파장 어떻게 예상되나요 ?



<기자>

벤 버냉키 연준 의장이 임기 마지막 공개시장위원회 회의에서 추가적인 양적완화 축소를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우세합니다.



지난해 12월 매달 850억달러의 자산매입 규모를 100억달러 축소한데 이어서 이번주 올해 첫 FOMC회의에서 추가 100억달러 규모를 더 줄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음달부터 새 의장직을 맡은 자넷 옐런 차기 의장의 부담을 덜어준다는 점에서 자신이 풀어논 달러를 순차적으로 회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출구전략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지난달 고용이 다소 부진하다는 점은 이번 FOMC회의에서는 자산매입 규모를 현행 그대로 유지할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예상대로 연준이 100억달러 자산매입 규모를 줄인다해도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이미 어느정도 시장에 선반영된데다 당분간 제로수준의 초저금리 기조는 유지될 것이 확실시 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벤 버냉키 의장은 최근 통화정책과 관련해 인플레이션율이 장기 목표인 2%를 초과하지 않는다면 초저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밝혀 당분간 금리는 유지하되 시장에 충격을 최소화하면서 양적완화 규모를 축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바 있습니다.





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이인철기자 iclee@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이세돌 구리 10번기 첫 판서 기선제압‥우승상금 `8억7천만원`
ㆍ금융당국 대출 옥죄기‥`전화영업` 금지
ㆍ아무리먹어도 날씬한여성! 알고보니
ㆍ최나연 LPGA 바하마클래식 공동 3위‥제시카 코르다 역전 우승
ㆍ1월 소비자심리지수 109‥`35개월래 최고`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