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첫 기자회견] "비정상적 관행, 원칙대응 하는 게 잘못인가" 적극 해명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불통 논란' 해소될까
박근혜 대통령은 6일 취임 후 처음 가진 기자회견에서 자신에게 꼬리표처럼 따라붙는 ‘불통’ 논란에 대해 적극 해명했다.
박 대통령은 철도파업 등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대통령의 불통 때문이라는 지적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진정한 소통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단순한 기계적 만남이라든지 또는 국민 이익에 반하는 주장이라도 적당히 수용하거나 타협하는 것이 소통이냐. 그건 소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반론을 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우리 사회를 보면 불법으로 막 떼를 쓰면 적당히 받아들이곤 했는데 이런 비정상적 관행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대응하는 걸 ‘소통이 안돼서 그렇다’고 말하는 건 잘못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철도파업을 거론하며 “정부가 민영화하는 것이 아니라고 누차 얘기해도 그 말을 들으려고 안 하는 상황에서 직접 만나는 방식의 소통이 가능할 것인가 그런 생각을 해봤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이날 해명에도 불구하고 불통 논란이 말끔히 가실지는 미지수다. 우선 ‘불통’을 의식해 취임 후 처음 마련된 이날 기자회견에 대해서도 뒷말이 적지 않았다. 기자들은 사전 각본 없는 즉석 회견 방식을 선호했으나, 청와대는 이런저런 사정을 이유로 질문 숫자에 제한을 둔 뒤 질문을 미리 받았고 대통령은 준비된 답변 내에서 말했다. 그나마 청와대에서 당초 질문 개수를 5~8개 정도로 한정하려고 했지만, 기자회견에 임박해 박 대통령 지시로 12개로 늘리긴 했다.
이 때문에 기자회견장에 배석한 한 장관은 소회를 묻자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질문하고 답변하니까 그다지 감동이 크지 않았다”고 평했다. 박 대통령은 기자회견 후 참석 기자들과 인사를 나누던 중 “다음 기자회견부터는 자유토론 형식으로 하는 게 어떠냐”는 기자의 제의에 “지난해 여름 있었던 기자단 오찬도 일종의 자유토론이 아니었냐”고 답했다. 작년 7월 말 청와대 녹지원에서 열린 기자단 오찬 행사를 언급한 것이다. 하지만 당시 오찬에서는 현안에 대한 질의응답은 이뤄지지 않았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
박 대통령은 철도파업 등 사회적 문제의 원인이 대통령의 불통 때문이라는 지적을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진정한 소통이 무엇인가에 대해서도 한 번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단순한 기계적 만남이라든지 또는 국민 이익에 반하는 주장이라도 적당히 수용하거나 타협하는 것이 소통이냐. 그건 소통이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반론을 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우리 사회를 보면 불법으로 막 떼를 쓰면 적당히 받아들이곤 했는데 이런 비정상적 관행에 대해서 원칙적으로 대응하는 걸 ‘소통이 안돼서 그렇다’고 말하는 건 잘못이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최근 철도파업을 거론하며 “정부가 민영화하는 것이 아니라고 누차 얘기해도 그 말을 들으려고 안 하는 상황에서 직접 만나는 방식의 소통이 가능할 것인가 그런 생각을 해봤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이날 해명에도 불구하고 불통 논란이 말끔히 가실지는 미지수다. 우선 ‘불통’을 의식해 취임 후 처음 마련된 이날 기자회견에 대해서도 뒷말이 적지 않았다. 기자들은 사전 각본 없는 즉석 회견 방식을 선호했으나, 청와대는 이런저런 사정을 이유로 질문 숫자에 제한을 둔 뒤 질문을 미리 받았고 대통령은 준비된 답변 내에서 말했다. 그나마 청와대에서 당초 질문 개수를 5~8개 정도로 한정하려고 했지만, 기자회견에 임박해 박 대통령 지시로 12개로 늘리긴 했다.
이 때문에 기자회견장에 배석한 한 장관은 소회를 묻자 “미리 정해진 형식으로 질문하고 답변하니까 그다지 감동이 크지 않았다”고 평했다. 박 대통령은 기자회견 후 참석 기자들과 인사를 나누던 중 “다음 기자회견부터는 자유토론 형식으로 하는 게 어떠냐”는 기자의 제의에 “지난해 여름 있었던 기자단 오찬도 일종의 자유토론이 아니었냐”고 답했다. 작년 7월 말 청와대 녹지원에서 열린 기자단 오찬 행사를 언급한 것이다. 하지만 당시 오찬에서는 현안에 대한 질의응답은 이뤄지지 않았다.
정종태 기자 jtch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