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트임 부작용, 피부위치 재배치로 복원한다
[라이프팀] 우리나라 사람들은 눈 앞머리에 몽고주름이 있는 경우가 많다. 몽고주름을 터 눈의 가로길이를 늘려주는 앞트임은 쌍꺼풀 수술을 할 때 흔히 함께 하는 눈 성형이다. 예전에 비해 수술 기법이 발달, 부작용 위험이 크게 줄었다고는 하지만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좋다. 수술 부위가 눈에 잘 띌 뿐만 아니라 주름이나 피부결로 감추기도 어렵기 때문이다.

앞트임은 주로 눈 사이 거리가 정상범위인 34~36mm보다 멀거나 눈 앞쪽의 몽고주름이 심한 경우 효과적이다. 눈의 가로길이가 길어지고 몽고주름 때문에 사나워 보이던 눈매도 개선된다. 최근에는 눈 사이 거리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몽고주름을 없애는 수술(몽고리프팅)도 등장해 정상보다 좁은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부작용 유형과 복원 방법
앞트임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흉터다. 수술이 과할 경우 절개 흉터가 눈에 띄게 남기 쉽다. 수술 후 관리가 잘못되는 경우에도 하얗게 부푼 흉터자국이 남기도 한다. 눈 안쪽에 붉은 살이 많이 드러나 보이거나 좌우 모양이 눈에 띄게 다른 경우 등도 부작용으로 볼 수 있다. 몽고주름을 튼 자리가 뾰족하고 날카롭게 변해 전체적으로 인상이 사납게 변하는 경우도 있다.

앞트임 부작용은 적당한 몽고주름을 인위적으로 만들어 주는 앞트임 복원술(몽고주름 복원술)로 교정한다. 제거했던 몽고주름을 일정부분 다시 만들어주면 수술 후 생긴 흉터나 눈 안쪽의 붉은 살이 감춰진다. 열려있는 눈 앞쪽의 피부를 당긴 후 재배치하여 다시 닫아주는 원리다.

복원 가능한 범위와 시기는?
몽고주름을 다시 만들어 준다고 해서 앞트임을 하기 전으로 돌아가는 것은 아니다. 눈 사이 거리나 모양 등을 고려해 자연스러운 모양으로 다듬어 준다고 생각하면 된다. 붉은 살이 많이 보이는 경우 몽고주름을 복원해 감춰주며, 흉터가 눈에 띄게 잘 보이는 경우 잘게 자른 후 보이지 않는 곳으로 옮겨줘야 한다. 수술부위가 뾰족하면 둥글게 교정해주고 짝짝이라면 기존 수술과 같은 절개라인을 사용해 대칭을 맞춰준다.

앞트임 재수술은 기존 수술 부위가 완전히 회복된 후 진행해야 된다. 회복 전 재수술을 하게 되면 결과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기존 절개부위가 완전히 안정되려면 최소 6개월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피부가 약하고 예민한 편이기 때문에 더욱 주의해야 한다. 부작용 예방을 위해선 수술 시 과도한 욕심을 버려야 한다. 눈을 크게 하겠다는 욕심에 과하게 수술을 하면 부작용의 위험도 높아진다. 트임의 정도는 전체적인 얼굴과의 조화나 수술 후 결과를 예측해 결정하는 것이 좋다.

레알성형외과 김수신 대표원장은 “앞트임은 이미 대중적인 미용성형으로 자리를 잡았지만 부작용으로 고민하는 사람도 많다”며 “부작용이 심한 경우 복원도 어려울 수 있으므로 첫 성형 시 신중히 선택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사진 : 영화 '디어존' 스틸컷)

한경닷컴 w스타뉴스 기사제보 life@wstarnews.com

▶ 남극에서 발견한 돌맹이, 알고 보니 '달 운석'…소유권은?
▶ 할머니의 졸업 선물, 알고 보니 명품백보다 ‘비싼 선물’ 반전
▶ 40억년 전 화성, 푸른빛 드넓고 쾌적한 자랑…현재의 모습은?
▶ 쌍둥이 신생아 화제, 서로 꼭 끌어안은 채 ‘하나같은 둘’ 모습 감동
▶ [포토] 이장우-아이유-한채영-장근석 '비주얼 폭발 4인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