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중 버려지는 에너지 1%만 줄여도 원전1기 짓는 효과"
에너지 전환손실을 1%만 줄여도 원자력발전소 1개를 대체하는 효과가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환손실은 석유 석탄 등의 1차 에너지를 전력, 열에너지 등으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며 약 95%가 발전(전력) 부문에서 발생한다. 한국은 1차 에너지 중 74.7%만을 최종에너지로 소비하고 나머지 25.3%는 전환손실로 사라진다.

현대경제연구원은 24일 ‘에너지 수급 불균형 해소를 위한 생산 효율성 제고 방안’ 보고서에서 “2012년 기준으로 전환손실을 1%만 줄여도 70만2880TOE(1TOE는 석유 1t을 연소했을 때 발생하는 열량)의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며 “이는 원자력발전소 1.04개를 하루 24시간, 1년 365일의 약 90% 가동시켰을 때 생산하는 에너지 수준”이라고 밝혔다.

한국의 총에너지 대비 전환손실 비중은 31.3%로 한국과 산업구조가 비슷한 독일(26.0%), 일본(29.0%)보다 높다.

하지만 한국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중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2010년 기준으로 한국의 최종에너지 소비에서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24.5%에 이른다. 2000~2010년 연평균 전력 소비 증가율은 7.0%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아이슬란드(8.5%)에 이어 두 번째다. 더욱이 한국의 높은 전기화(전기로 에너지 소비가 쏠리는 현상) 추세는 전환손실 증가로 이어져 같은 기간 OECD 국가 중 전환손실 증가율이 3위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수급 불균형이 심각한 한국은 전환손실을 조금이라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게 현대경제연구원의 지적이다. 한국의 에너지 자급률은 18.0%로 OECD 평균 77.3%에 못 미치고 OECD 34개국 중 30위 수준이다.

백흥기 현대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은 “국내 에너지 정책은 공급과 소비 측면에 집중돼온 경향이 있고 에너지 전환 과정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미흡했다”며 “에너지 공급시스템의 효율성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이를 위해 열병합 발전을 통해 전기와 열을 동시에 생산하거나 복합화력, 부생가스를 활용한 방식 등 에너지 효율을 개선할 수 있는 공급시스템 채택을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분산형 발전 시스템을 늘려 송배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환손실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정책적으로는 전환손실 감소를 위한 기술개발에 세제 혜택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고 제도적 지원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유미 기자 warmfron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