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窓] 신흥시장 리스크 끝나지 않았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영호 트러스토운용 대표
미국 중앙은행(Fed)의 10월 말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성명서를 놓고 양적완화 축소 시점이 내년 1월로 앞당겨졌다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양적완화 축소는 두 가지를 의미한다.
우선 미국경기 회복에 대해 Fed의 확신이 커져서 향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비하는 동시에 비전통적 금융정책을 정상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당장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지 않기 때문에 양적완화 축소의 배경을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만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다른 하나는 양적완화가 금융시장에 버블만 형성하고 실물경제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무용론 때문일 것이다.
우려되는 것은 수면 아래로 내려갔던 신흥시장의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이 다시 커질 것이라는 점이다. 양적완화 축소로 미약한 경기회복, 미국금리 상승, 달러화 강세가 발생하면 신흥시장에서 자금유출 압박이 커질 것이다. 경상수지와 재정수지, 외채구조의 취약성을 감안할 때 인도네시아, 인도, 브라질, 남아공, 터키는 내년 초 외환위기 구설에 오를 수 있다. 한국은 제반 경제여건이 이들 국가보다 양호하다. 그러나 정도는 덜 하겠지만 신흥시장으로부터 자금유출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양적완화 축소를 단순히 이미 알려진 악재의 노출로 폄하하기보다 글로벌 자금이동의 변화가 재연될 수 있다는 위험요인으로 인식해야 할 시점이다.
김영호 < 트러스토운용 대표 >
우선 미국경기 회복에 대해 Fed의 확신이 커져서 향후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비하는 동시에 비전통적 금융정책을 정상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당장 인플레이션 압력이 높지 않기 때문에 양적완화 축소의 배경을 경기회복에 대한 확신만으로 보기엔 무리가 있다. 다른 하나는 양적완화가 금융시장에 버블만 형성하고 실물경제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무용론 때문일 것이다.
우려되는 것은 수면 아래로 내려갔던 신흥시장의 금융위기 발생 가능성이 다시 커질 것이라는 점이다. 양적완화 축소로 미약한 경기회복, 미국금리 상승, 달러화 강세가 발생하면 신흥시장에서 자금유출 압박이 커질 것이다. 경상수지와 재정수지, 외채구조의 취약성을 감안할 때 인도네시아, 인도, 브라질, 남아공, 터키는 내년 초 외환위기 구설에 오를 수 있다. 한국은 제반 경제여건이 이들 국가보다 양호하다. 그러나 정도는 덜 하겠지만 신흥시장으로부터 자금유출 압박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양적완화 축소를 단순히 이미 알려진 악재의 노출로 폄하하기보다 글로벌 자금이동의 변화가 재연될 수 있다는 위험요인으로 인식해야 할 시점이다.
김영호 < 트러스토운용 대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