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d "재정정책이 성장 걸림돌"…양적완화 유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美 주택경기·고용 좀 더 보고…" 출구전략 시간표는 없었다
'테이퍼링 2014년 3월' 우세 속 "연말 가능성도 열어놔" 분석
12월 중순 예산안 협상 변수
'테이퍼링 2014년 3월' 우세 속 "연말 가능성도 열어놔" 분석
12월 중순 예산안 협상 변수
미국 중앙은행(Fed)은 30일(현지시간) 통화정책 결정기구인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에서 월 850억달러 규모 채권을 사들이는 3차 양적완화(QE) 정책을 유지하기로 했다. 시장참가자들의 예상대로였다. 하지만 주가가 하락했고 금리는 뛰었다.
시장이 기대한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tapering)’ 스케줄에 대한 언급이 없어 불확실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날 발표된 FOMC 성명을 토대로 “내년 3월 테이퍼링 가능성이 여전히 높지만 올해 12월 가능성도 열어놓았다”고 분석했다.
○출구전략 12월 가능성 열어놓아
FOMC는 성명에서 “미국 재정정책이 경제성장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10월 초부터 16일 동안 지속된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폐쇄)과 국가 디폴트(채무 불이행) 위기를 지목한 것이다. Fed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완만한(moderate)’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표현했다. 물론 “주택 경기가 몇 달간 다소 둔화됐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다소 완만한(modest)’이란 표현으로 강등시키지 않았다는 게 파이낸셜타임스의 분석이다.
Fed는 또 9월 FOMC에서 지적한 “금리 상승이 경제성장을 해칠 수 있다”는 표현을 이번엔 뺐다. 지난 6월 벤 버냉키 Fed 의장이 출구전략 스케줄을 제시한 이후 나타난 장기금리의 가파른 상승세에 대한 우려가 이제는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뜻이다. 9월 초 연 3%대에 육박했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이날 연 2.53%에 머물고 있다.
○정치권 협상이 변수
최대 변수는 정치권이다. 민주당과 공화당은 최근 셧다운과 디폴트 위기를 해소하는 합의안에 타결하면서 12월13일까지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예산안을 마련키로 합의했다. 예산안이 그때까지 타결되지 않으면 내년 1월15일 ‘2차 셧다운’이 불가피하다. 12월17~18일 열리는 FOMC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얘기다.
또 11월14일 예정된 재닛 옐런 차기 Fed 의장 내정자의 상원 인준청문회도 주목되고 있다. 공화당이 양적완화 축소를 요구하고 있는 만큼 옐런 내정자가 어떤 식으로든지 출구전략에 대한 실마리를 던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셧다운 여파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 △신규 취업자 감소 △경제통계 왜곡 등으로 인해 연내 출구전략은 물건너갔다고 점치고 있다. 마크 잔디 무디스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셧다운과 디폴트 위기가 이미 고용시장에 타격을 줬다”며 고용지표가 더 나빠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12월 테이퍼링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내년 1월 말 FOMC는 버냉키 의장 퇴임과 옐런 부의장의 취임이 맞물리는 시기다. ‘중대 결정’을 하는 타이밍으로 적절치 않다. 정치권의 연방정부 부채한도 상향조정 협상(데드라인 2월7일)이 끝난 다음인 3월 테이퍼링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
시장이 기대한 ‘양적완화 축소(테이퍼링·tapering)’ 스케줄에 대한 언급이 없어 불확실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날 발표된 FOMC 성명을 토대로 “내년 3월 테이퍼링 가능성이 여전히 높지만 올해 12월 가능성도 열어놓았다”고 분석했다.
○출구전략 12월 가능성 열어놓아
FOMC는 성명에서 “미국 재정정책이 경제성장을 가로막고 있다”고 지적했다. 10월 초부터 16일 동안 지속된 연방정부 셧다운(일부 폐쇄)과 국가 디폴트(채무 불이행) 위기를 지목한 것이다. Fed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제가 ‘완만한(moderate)’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고 표현했다. 물론 “주택 경기가 몇 달간 다소 둔화됐다”는 단서를 달았지만 ‘다소 완만한(modest)’이란 표현으로 강등시키지 않았다는 게 파이낸셜타임스의 분석이다.
Fed는 또 9월 FOMC에서 지적한 “금리 상승이 경제성장을 해칠 수 있다”는 표현을 이번엔 뺐다. 지난 6월 벤 버냉키 Fed 의장이 출구전략 스케줄을 제시한 이후 나타난 장기금리의 가파른 상승세에 대한 우려가 이제는 어느 정도 해소됐다는 뜻이다. 9월 초 연 3%대에 육박했던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이날 연 2.53%에 머물고 있다.
○정치권 협상이 변수
최대 변수는 정치권이다. 민주당과 공화당은 최근 셧다운과 디폴트 위기를 해소하는 합의안에 타결하면서 12월13일까지 재정적자 감축을 위한 예산안을 마련키로 합의했다. 예산안이 그때까지 타결되지 않으면 내년 1월15일 ‘2차 셧다운’이 불가피하다. 12월17~18일 열리는 FOMC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얘기다.
또 11월14일 예정된 재닛 옐런 차기 Fed 의장 내정자의 상원 인준청문회도 주목되고 있다. 공화당이 양적완화 축소를 요구하고 있는 만큼 옐런 내정자가 어떤 식으로든지 출구전략에 대한 실마리를 던지지 않겠느냐는 관측이 나온다.
대다수 전문가들은 셧다운 여파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 △신규 취업자 감소 △경제통계 왜곡 등으로 인해 연내 출구전략은 물건너갔다고 점치고 있다. 마크 잔디 무디스애널리틱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셧다운과 디폴트 위기가 이미 고용시장에 타격을 줬다”며 고용지표가 더 나빠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12월 테이퍼링 가능성이 낮다는 것이다.
내년 1월 말 FOMC는 버냉키 의장 퇴임과 옐런 부의장의 취임이 맞물리는 시기다. ‘중대 결정’을 하는 타이밍으로 적절치 않다. 정치권의 연방정부 부채한도 상향조정 협상(데드라인 2월7일)이 끝난 다음인 3월 테이퍼링 가능성을 높게 보는 이유다.
워싱턴=장진모 특파원 j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