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사모펀드'이상 급증'] "설정액 10억 밑돌면 운용역 인건비도 못건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불황 늪 빠진 금융사들, 규제 피해 사모펀드 쏟아내
공모펀드는 꾸준히 감소
강제청산땐 수익률 손해
투자자, 맞춤형 상품 주문도
공모펀드는 꾸준히 감소
강제청산땐 수익률 손해
투자자, 맞춤형 상품 주문도
한 대형 포털의 재테크 카페에선 요즘 사모펀드 개설 논의가 한창이다. 1인당 500만~1000만원씩 모아 증권사에 사모형 주가연계증권(ELS)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하자는 것이다.
이 카페 회원인 정모씨는 “우리가 찾아낸 특정 종목에 집중 투자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얻고 싶은데 현재 공모펀드 중에선 이런 상품을 찾을 수 없다”며 “기성복 같은 공모형 대신 맞춤식 투자상품을 주문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설정액이 10억원도 안 되는 소규모 사모펀드가 급증하는 것은 증권사 자산운용사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그만큼 다양한 상품을 쏟아냈기 때문이다. 정씨의 사례처럼 소비자가 직접 특정 종목을 활용한 투자상품 개설을 요구하기도 한다. 하지만 성과보수가 없는 소규모 사모펀드는 금융사들이 수익률 관리에 소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불황’ 금융사 “내놓고 보자”
사모펀드는 투자 규제가 적은 덕분에 다양한 상품 출시가 가능하다. 펀드당 투자자가 49명 이하여야 한다는 조건만 맞추면 주식 채권 원자재 등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다. 예컨대 주식형 공모펀드는 한 종목을 10% 이상 담아선 안 된다는 규제가 있지만 사모펀드에선 삼성전자 한 종목만으로 자산을 구성할 수 있다.
김철배 금융투자협회 집합투자서비스본부장은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가 모여 계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할 이유가 별로 없다”고 설명했다.
A증권사 관계자는 “경기 불황 탓에 한 푼이 아쉬운 금융회사 입장에서 사모펀드가 중요한 수익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투자자를 많이 받을 수 없지만 잘 팔리면 똑같은 상품을 또 만들면 된다”고 말했다.
김경식 KDB대우증권 상품개발실 팀장은 “사모펀드 투자자 중에선 해외투자형과 조기상환형을 찾는 사람이 많다”며 “금융사 간 경쟁이 심화되다 보니 사모펀드 운용보수도 공모펀드 수준까지 내려갔다”고 전했다.
다만 설정액 규모가 작다면 공·사모 형태에 관계없이 수익률을 높이는 게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익명을 요구한 B운용사 관계자는 “사모펀드를 만들어 놓고도 설정액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럴 땐 펀드를 청산할 수도 없어 울며 겨자 먹기로 운용한다”고 했다.
김인응 우리은행 투체어스 잠실센터장은 “사모든 공모든 펀드 규모가 10억원 이하면 운용역 인건비를 건지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규모 공모펀드는 청산주의보
사모펀드와 달리 소규모 공모펀드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소규모 펀드 청산제를 도입한 2010년 말 1186개이던 10억원 미만 공모펀드는 지난달 874개로 26.3% 감소했다. 10억~100억원 규모 공모펀드도 같은 기간 1325개에서 1240개로 줄었다. 정부가 운용사를 대상으로 자투리 공모펀드의 청산을 압박했기 때문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설정한 지 1년이 지난 공모형 펀드 중 50억원 미만일 경우엔 투자자 동의를 얻지 않고 강제 청산할 수 있다”며 “하지만 고객 관리 차원에서 일일이 동의를 받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펀드 가입자 입장에서 자신의 펀드가 중도 청산되면 역시 수익률 면에서 손해볼 수 있다. 투자 목표 기간을 앞당겨 편입 종목을 매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모펀드에 가입한다면 이 펀드 설정액이 어느 정도인지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
이 카페 회원인 정모씨는 “우리가 찾아낸 특정 종목에 집중 투자하면서 안정적인 수익을 얻고 싶은데 현재 공모펀드 중에선 이런 상품을 찾을 수 없다”며 “기성복 같은 공모형 대신 맞춤식 투자상품을 주문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설정액이 10억원도 안 되는 소규모 사모펀드가 급증하는 것은 증권사 자산운용사 은행 등 금융회사들이 그만큼 다양한 상품을 쏟아냈기 때문이다. 정씨의 사례처럼 소비자가 직접 특정 종목을 활용한 투자상품 개설을 요구하기도 한다. 하지만 성과보수가 없는 소규모 사모펀드는 금융사들이 수익률 관리에 소홀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했다.
◆‘불황’ 금융사 “내놓고 보자”
사모펀드는 투자 규제가 적은 덕분에 다양한 상품 출시가 가능하다. 펀드당 투자자가 49명 이하여야 한다는 조건만 맞추면 주식 채권 원자재 등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다. 예컨대 주식형 공모펀드는 한 종목을 10% 이상 담아선 안 된다는 규제가 있지만 사모펀드에선 삼성전자 한 종목만으로 자산을 구성할 수 있다.
김철배 금융투자협회 집합투자서비스본부장은 “사모펀드는 소수의 투자자가 모여 계를 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정부가 개입할 이유가 별로 없다”고 설명했다.
A증권사 관계자는 “경기 불황 탓에 한 푼이 아쉬운 금융회사 입장에서 사모펀드가 중요한 수익원으로 자리 잡고 있다”며 “투자자를 많이 받을 수 없지만 잘 팔리면 똑같은 상품을 또 만들면 된다”고 말했다.
김경식 KDB대우증권 상품개발실 팀장은 “사모펀드 투자자 중에선 해외투자형과 조기상환형을 찾는 사람이 많다”며 “금융사 간 경쟁이 심화되다 보니 사모펀드 운용보수도 공모펀드 수준까지 내려갔다”고 전했다.
다만 설정액 규모가 작다면 공·사모 형태에 관계없이 수익률을 높이는 게 쉽지 않다는 게 업계의 얘기다. 익명을 요구한 B운용사 관계자는 “사모펀드를 만들어 놓고도 설정액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며 “이럴 땐 펀드를 청산할 수도 없어 울며 겨자 먹기로 운용한다”고 했다.
김인응 우리은행 투체어스 잠실센터장은 “사모든 공모든 펀드 규모가 10억원 이하면 운용역 인건비를 건지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소규모 공모펀드는 청산주의보
사모펀드와 달리 소규모 공모펀드는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 소규모 펀드 청산제를 도입한 2010년 말 1186개이던 10억원 미만 공모펀드는 지난달 874개로 26.3% 감소했다. 10억~100억원 규모 공모펀드도 같은 기간 1325개에서 1240개로 줄었다. 정부가 운용사를 대상으로 자투리 공모펀드의 청산을 압박했기 때문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설정한 지 1년이 지난 공모형 펀드 중 50억원 미만일 경우엔 투자자 동의를 얻지 않고 강제 청산할 수 있다”며 “하지만 고객 관리 차원에서 일일이 동의를 받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펀드 가입자 입장에서 자신의 펀드가 중도 청산되면 역시 수익률 면에서 손해볼 수 있다. 투자 목표 기간을 앞당겨 편입 종목을 매도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공모펀드에 가입한다면 이 펀드 설정액이 어느 정도인지 따져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전문가들은 강조했다.
조재길 기자 road@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