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보유 중인 기업은행 지분 4~5%를 늦어도 다음달 초까지 매각하기로 했다. 당초 매각하려던 18.9%보다는 크게 줄었다. 내년도 정부 예산을 조금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지분 매각을 더 이상 미룰 수 없다는 판단이 작용했다. 소화 가능한 물량이 그다지 많지 않을 것이라는 시장 상황도 감안했다.

○3000억원 안팎 세외수익 기대

정부, 기업은행 지분 4~5% 우선 매각
정부 고위 관계자는 3일 “애초에 팔려고 했던 기업은행 지분 18.9% 가운데 올해 20~30%만 매각하기로 했다”며 “전체 지분의 4~5% 수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지분 18.9%를 매각해 1조7000억원가량의 세외수익을 올리려던 정부 안에서 후퇴한 것이다. 매각지분이 줄었을 뿐 아니라 최근 기업은행 주가도 정부가 목표로 세웠던 주당 가격 기준에 크게 못 미치고 있어서다.

정부 계획대로 1조7000억원의 수익을 올리려면 주당 가격이 1만6800원 수준은 돼야 한다. 그러나 기업은행 주가는 1만2000원 안팎에서 좀처럼 움직이지 않고 있다. 지난 2일 종가인 주당 1만2000원을 기준으로 4~5%를 매각하면 정부는 2600억~3300억원의 세외수익을 올리게 된다.

기업은행 지분 매각은 늦어도 11월 초에는 이뤄질 전망이다. 당초 이달 중 매각할 예정이었으나 조금이라도 주가가 더 오를 수 있다고 판단해 11월 초까지 매각 시기를 늦춘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다른 관계자는 “블록딜(시간외 대량매매) 방식으로 매각할 계획”이라며 “기업은행 등과 지난 6월부터 몇 차례 IR(기업설명회)을 통해 매수 의사가 있는 기관들과 접촉해왔으며 시기만 결정하면 된다”고 말했다.

○정부 예산 확보 필요

정부가 기업은행 매각 지분을 계획보다 줄여 팔기로 한 것은 내년도 예산 확보를 위해서다. 내년도 복지예산 등을 고려하면 조금이라도 예산을 더 확보해놔야 하는데 시장 눈치만 보다가는 매각 시기를 놓칠 수 있다는 것이다. 최근 주식시장 상황이 기업은행의 블록딜 물량을 모두 소화하기 힘들 것이라는 점도 감안됐다.

당초 정부는 기업은행 지분을 ‘50%+1주’만 남기고 판다는 계획 아래 실무작업을 진행해왔다. 현재 기업은행 지분은 보통주 기준으로 정부가 68.9%를 보유하고 있다. 나머지는 △정책금융공사 1.9% △수출입은행 1.5% △기타 27.7% 등이다.

기업은행의 정책금융 역할이 강화된 것도 매각 지분 축소의 배경이 됐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지난 8월27일 정책금융개편안을 내놓으면서 “기업은행의 경우 가계여신을 더 이상 늘리지 않도록 유도하겠다”고 밝혔다. 개인이 아닌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은행을 경영하라는 것이다. 정부의 의지대로 중소기업 중심의 정책금융을 펼치려면 ‘50%+1주’로는 부족하다는 판단이 작용했다는 설명이다.

박신영 기자 nyuso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