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제에 민생 포함되면 회담수용 시사…"정쟁접고 국민위해 나서야"
"민생과 거리먼 정치ㆍ금도 없는 정치는 국민분열ㆍ정치파행"
국정원 논란에 "선거 활용 없어…비리ㆍ부패 그동안 뭐했나 비애감"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여야 지도부가 참여하는 청와대 회담을 둘러싼 대치와 관련, "민생회담과 관련해서는 언제든지 여야 지도부와 만나서 논의할 생각이 있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에서 수석비서관 회의를 주재하면서 이같이 말하고 " 민생 안정을 위해 정부와 정치권이 존재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민의 뜻에 부응해 국민에게 희망을 드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의 이 같은 언급은 야당이 주장하는 '양자회담'과 새누리당에서 나오는 '3자 회담'에 대해 회담 의제가 정치적인 것에 국한되지 않고, 민생에 관련된 사안까지 포함한다면 회담에 응할 수 있음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된다.

지금까지 청와대는 민주당이 양자 회담을 제안하면서 내세운 의제인 '국정원 댓글 대선개입 의혹에 대한 박 대통령의 사과와 남재준 국정원장 해임 그리고 특검 실시'에 대해 '정치 공세'의 성격이 강하다면서 회담 제의에 응하지 않아 왔다.

박 대통령은 그러면서 정치권을 상대로 강하게 '민생'을 주문했다.

박 대통령은 "국민의 고통과 어려움을 해결해 나가기 위해서는 국민으로부터 권한을 부여받은 정치권 모두가 산적한 민생을 위해 정쟁을 접고 국민을 위해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회에 대해 "국민을 위해 협조할 것은 초당적인 마음으로 임해주셔야 경기도 살릴 수가 있고 국민들의 삶도 나아질 수가 있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또 "정치권에도 부탁드린다.

지금 우리 국민들이 가장 바라는 것은 바로 민생안정"이라며 "민생과 거리가 먼 정치와 금도를 넘어서는 것은 국민들을 분열시키고 정치를 파행으로 몰게 될 것이고 그것은 진정 국민을 위한 정치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야당의 장외투쟁과 민주당 일부 의원들이 국가정보원 댓글 의혹사건을 4·19혁명을 촉발시킨 1960년 3·15 부정선거에 빗대어어 공세를 취한 것을 에둘러 거론한 것으로 해석됐다.

박 대통령은 국정원 댓글 대선개입 의혹에 대해 "작금에는 부정선거까지 언급하는데 저는 지난 대선에서 국정원으로부터 어떤 도움도 받지 않았고 선거에 활용한 적도 없다"며 "오히려 저는 과거로부터 이어져 온 비리와 부패의 관행을 보면서 그동안 과연 무엇을 했는지 묻고 싶을 정도로 비애감이 들 때가 많다"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저는 야당이 주장하는 국정원 개혁도 반드시 이뤄낼 것"이라며 "우리 안보를 책임지는 국정원 본래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도록 국정원 조직개편을 비롯한 국정원 개혁은 벌써 시작됐다.

강력한 의지를 갖고 국정원을 거듭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내달부터 이어질 주요20개국(G20) 정상회의와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등 다자외교에 대해 "우리 외교의 지평은 곧 우리 경제의 지평이자 미래"라면서 "특히 다자외교 무대를 통해서 경제 통상 분야의 협력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능동적이고 전략적인 대응으로 우리 경제의 저변을 넓히는데 역점을 둬야 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박 대통령은 노사관계에 언급, "정부가 개입하는 일도 없어야겠지만 정치권이나 외부에서 부당하게 개입해 노사관계를 왜곡시키는 일이 있어서도 안될 것"이라며 "노사관계 역시 비정상적인 관행의 정상화 차원에서 사전에 문제점을 점검해서 분규로 인한 손실을 미리 막고 대화와 협상으로 풀어나가야 한다"고 주문했다.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