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성공단 가동 중단 사태는 북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지난해 12월)에 이은 3차 핵실험(올해 2월)으로 국제 사회의 대북 제재가 크게 강화된 상황에서 매년 3월마다 한·미 군사훈련(키 리졸브)을 북측이 문제 삼은 게 발단이 됐다. 북한은 급기야 3월27일 군 통신선을 일방적으로 끊었고, 1주일 뒤인 4월3일 개성공단에서 일하는 우리 측 근로자의 입국을 막았다.

닷새 뒤인 8일 김양건 노동당 통일전선부장은 개성공단을 방문해 공단 가동 중단과 북측 근로자 철수를 선언했고, 9일부터 개성공단은 조업을 완전히 멈췄다.

이후 한 달여간 남북은 치열한 장외 공방전만 벌였다. 그러다 6월6일 북측이 포괄적 당국 간 회담을 전격 제의하면서 상황이 급반전했다. 이에 우리 측도 장관급 회담 개최를 역제안하면서 대화의 물꼬가 트였다. 그러나 12일부터 이틀간 열기로 했던 고위급 당국회담 개최가 수석대표 ‘격’ 문제로 막판에 무산돼 남북은 한 달여간의 냉각기를 보냈다.

이후 7월3일 북한이 개성공단 기업인과 관리위원회의 방북 허용 의사를 밝히고 우리 정부가 다음날 당국 간 실무회담 개최를 제의하면서 또다시 대화 국면이 조성됐다. 남북은 7월에만 총 여섯 차례 실무회담을 열었지만 좀처럼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지난달 28일 우리 정부는 남북 회담을 마지막으로 제의하면서 재발 방지에 대한 북측의 명확한 약속이 없을 경우 ‘중대 결단’을 내리겠다는 최후 통첩성 경고를 보냈다. 북측의 즉각적 반응이 나오지 않자 우리 정부는 지난 7일 중대 조치의 첫 단계로 개성공단 기업에 대한 경협 보험금 지급을 결정했다.

이호기 기자 h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