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6일 여야 간 대치 국면을 풀기 위해 여야 대표와 원내대표가 함께 참여하는 ‘5자 회담’을 제안했다.

이에 새누리당은 환영했다. 민주당은 일각에서 당초 김한길 대표가 제의한 대로 1 대 1 영수(대통령-야당 대표) 회담을 주장했지만 당 차원의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이번에 여야가 같이 국정 전반에 걸쳐 의견을 나누고자 회담을 제의한 것을 긍정적으로 생각한다”며 “각종 국정 현안이 원내에 많은 만큼 여야 원내대표를 포함한 5자 회담을 열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이 양당 원내대표를 포함한 5자 회담을 역제안한 데는 국가정보원 국정조사 등 여야 간 협상을 주도하는 원내사령탑들과의 대화를 통해 꼬여 있는 정국의 실타래를 풀고, 9월 정기국회에서 민생 법안의 원만한 처리를 당부하기 위한 뜻이 담겼다고 청와대 관계자는 설명했다.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환영의 뜻을 밝히고 “대통령이 제안했지만 여야가 준비해서 성과 있는 회담이 돼야 한다”며 “구체적 의제는 추후 정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주당 내부에선 “거부할 명분이 없다”는 의견과 “5명이 동시에 만나는 회담 형식으로 볼 때 진정성에 의문이 있다”고 반대하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현 정국을 풀려면 1 대 1 여야 영수회담에서 허심탄회한 대화를 통해 서로 간의 인식을 확인하고, 구체적인 해법을 논의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김 대표는 “생각을 더 해봐야겠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대표는 이미 “형식과 의전에 얽매이지 않겠다”고 공언했다. 이런 상황에서 ‘대화의 장’ 자체를 걷어차기도 김 대표로선 난감하다. 회담 형식에만 얽매여 제1야당 대표가 대통령과의 대화 자체를 거부한 채 ‘장외’에만 매달리는 모습은 여론의 역풍을 부를 수 있다. 이렇다 할 가시적 성과 없이 ‘빈손’으로 청와대를 나올 경우 당내 강경파의 반발 등 적지 않은 후폭풍을 감수해야 하는 것도 부담이다.

이에 따라 여권과 민주당 간에는 당분간 회담 형식을 놓고 샅바싸움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이정호/김재후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