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들, 중국 토종 글로벌 기업에 직접 납품해야



윤상직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17일 “국내 기업들이 중국 소비재 시장과 서부 개발 프로젝트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말했다.

윤 장관은 이날 서귀포 신라호텔에서 개막한 대한상공회의소 제주포럼 특별강연을 통해 “중국 소비재 시장이 유망한데 우리 기업들이 제대로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 또 국내 (중소)기업들이 중국 글로벌기업에 대한 부품 공급을 늘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레노버, 화웨이 등 중국에서도 세계적인 기업들이 나오고 있다”며 “이들 기업에 부품을 직접 납품하는 방식을 개척할 필요가 있으며 정부도 수출 상담회 등을 통해 적극 지원하겠다”고 했다. 부품업체가 대기업과 동반 진출, 현지 기업에 납품하거나 국내에서 수출하는 방식이 아니라 중국 현지 대형 유통업체들을 활용해 부품을 직접 공급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어 “시안과 충칭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중국의 서부 대개발 프로젝트가 급물살을 타고 있는 만큼 우리 기업들이 이 지역에 관심을 갖고 진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윤 장관은 한·중 자유무역협정(FTA) 협상과 관련, “농산품을 비롯해 양국 모두 개방에 민감한 품목이 있다”며 “오는 9월 상하이에서 열리는 7차 협상 결과에 따라 기초적인 1단계 협의를 끝내고 본격적인 2단계로 넘어갈 지 정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우리 측이 가장 관심이 많은 분야 중 하나는 중국의 비관세 장벽”이라며 “중국은 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가 각각 달라 일관성이 없는 측면이 있다”고 지적했다.

윤 장관은 정부의 통상 정책에 대해 “과거에는 한국이 중심이 되는 FTA 허브를 지향했지만 중국의 부상으로 이런 전략이 퇴색했다”며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력체제) 등 현재 추진되는 각 지역별 경제공동체를 연결하는 중심축 기능을 하는 린치핀(linchpin·핵심축) 전략으로 바뀌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TPP 참여 여부와 관련, “대외경제연구원이 다음달 TPP가 우리 경제에 미칠 영향 등을 분석한 연구용역 결과를 내놓는다”며 “결과를 본 뒤 참여 여부에 대한 공론화 과정을 거칠 것”이라고 했다.

윤 장관은 산업부로의 통상업무 이전과 관련, “과거엔 통상 정책 수립과 교섭은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가 맡고 이행과 대책 수립은 각 부처가 따로 했다”며 “지금은 산업부가 정책 수립과 교섭, 이행, 대책 마련 등을 책임지고 일관성있게 추진할 수 있게 됐다”고 자평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통상으로 먹고 살아야할 운명 가진 국가”라며 “통상 기능이 산업부로 넘어왔다고 해서 보호무역주의로 가지는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귀포=이건호 기자 leek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