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구조조정, 파란은 없었다…"은행주 영향 미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금융감독원의 대기업 구조조정 대상 명단이 예상 수준에 그치면서 은행주 영향도 미미할 것으로 전망된다.
11일 금감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의 대기업(1802곳) 중 세부평가대상업체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완료하고 이중 40곳(C등급 27, D등급 13)을 구조조정 대상 기업으로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 36곳 대비 4곳이 늘어난 것이다.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총 4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되려 3000억원 줄었다. 금융권 추가 적립금(예상치)도 6800억원으로 4200억원 가량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건설 시행사가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데다 금감원 내부적으로 담보대출의 충당금 적립비율을 낮추는 등 충당금 추정 기준을 변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있는 대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서 대부분 제외돼 실질적인 금융권의 부담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새 정부는 구조조정을 통한 경제 체질 개선보다는 연착륙을 통한 경제 안정성 제고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당장 칼바람은 지나갔지만 대기업들의 구조조정 속도가 신속하지 못하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구조조정 없이 한계 차주에 대해 자금이 계속 지원될 경우 잠재적 신용 위험은 커지고, 은행들의 대출도 소극적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STX그룹 계열사의 법정관리, 쌍용건설 추가 지원 등으로 2분기 은행업종의 대손 비용이 확대된다는 점도 유의할 대목이다.
심규선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분기에도 조선사 관련 충당금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충당금 등 일회성 대손비용이 발생했으나 2분기에도 대손비용(주요 7개 은행 합산)은 전분기에 비해 23.0% 증가한 2조3396억원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증시전문가들은 실적이 안정적인 지방은행에 관심을 둘 것을 권하고 있다.
서 연구원은 "지배구조의 안정성이 뛰어나 정부 규제의 영향을 덜 받고 안정적 실적이 기대되는 BS금융지주, DGB금융지주를 최선호주로 선정한다"고 밝혔다.
심 연구원은 BS금융지주와 함께 민영화 작업이 진행될 우리금융, 펀더멘털 대비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하나금융지주에 대한 투자를 추천했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
11일 금감원에 따르면 채권은행은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의 대기업(1802곳) 중 세부평가대상업체에 대한 신용위험평가를 완료하고 이중 40곳(C등급 27, D등급 13)을 구조조정 대상 기업으로 선정했다. 이는 지난해 36곳 대비 4곳이 늘어난 것이다.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총 4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되려 3000억원 줄었다. 금융권 추가 적립금(예상치)도 6800억원으로 4200억원 가량 감소했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건설 시행사가 구조조정 대상에 오른데다 금감원 내부적으로 담보대출의 충당금 적립비율을 낮추는 등 충당금 추정 기준을 변경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서영수 키움증권 연구원은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있는 대기업이 구조조정 대상에서 대부분 제외돼 실질적인 금융권의 부담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그는 "새 정부는 구조조정을 통한 경제 체질 개선보다는 연착륙을 통한 경제 안정성 제고에 주력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말했다.
당장 칼바람은 지나갔지만 대기업들의 구조조정 속도가 신속하지 못하다는 점은 우려스럽다. 구조조정 없이 한계 차주에 대해 자금이 계속 지원될 경우 잠재적 신용 위험은 커지고, 은행들의 대출도 소극적이 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STX그룹 계열사의 법정관리, 쌍용건설 추가 지원 등으로 2분기 은행업종의 대손 비용이 확대된다는 점도 유의할 대목이다.
심규선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전분기에도 조선사 관련 충당금과 프로젝트 파이낸싱(PF) 관련 충당금 등 일회성 대손비용이 발생했으나 2분기에도 대손비용(주요 7개 은행 합산)은 전분기에 비해 23.0% 증가한 2조3396억원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증시전문가들은 실적이 안정적인 지방은행에 관심을 둘 것을 권하고 있다.
서 연구원은 "지배구조의 안정성이 뛰어나 정부 규제의 영향을 덜 받고 안정적 실적이 기대되는 BS금융지주, DGB금융지주를 최선호주로 선정한다"고 밝혔다.
심 연구원은 BS금융지주와 함께 민영화 작업이 진행될 우리금융, 펀더멘털 대비 주가순자산비율(PBR)이 낮은 하나금융지주에 대한 투자를 추천했다.
한경닷컴 정인지 기자 inj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