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X조선을 비롯한 대기업 30여개사가 구조 조정 대상에 오를 것으로 알려졌다.

9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국내 대기업에 대한 신용 위험 평가 작업을 마쳤다. 이 평가를 기준으로 조만간 30여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워크아웃 또는 법정관리 신청을 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4월부터 6월 말까지 금융권에 500억 원 이상 돈을 빌린 대기업을 대상으로 신용 위험 평가 검사를 실시해 구조 조정 대상 선정 작업을 벌였다.

지난해와 비슷하게 경기 불황이 이어졌고 조선·해운 등은 업황이 갈수록 악화돼 대기업 구조 조정 규모는 지난해(32개 회사 구조조정)와 비슷한 30여개 수준이 될 예정이다.

올해 들어 STX조선 등 STX그룹 계열사를 비롯한 일부 조선, 해운, 건설사들이 자금 경색으로 경영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알려져 올해 C-D 등급을 받아 구조 조정에 오를 대기업도 지난해 규모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이 평가 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할 경우 최대 40여개까지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채권단은 지난해 1806개 대기업 중 549개 회사를 세부 평가 대상으로 분류한 뒤 건설사, 조선사, 반도체업체, 디스플레이업체 등 36개 회사를 C등급(15개)과 D등급(21)으로 재분류했다.

C등급에 속한 대기업은 채권단과 워크아웃 약정을 맺고 경영 정상화를 추진할 예정이다. D등급의 경우는 채권단 지원을 받지 못해 자율적으로 정성화 추진이 가능하지만 대부분 법정관리(기업 회생 절차)를 신청하게 된다.

2009년에는 79개, 2010년에는 65개, 2011년에는 32개 회사가 각각 구조조정 대상에 올랐다.

한경닷컴 산업경제팀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ope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