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벤 버냉키 의장의 양적완화 조기축소 발언 이후 채권시장이 경색되고 있습니다. 시장 안정화 대책이 시급한 상황에서 회사채 시장의 근본적인 체질 개선을 위한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입니다. 보도에 김정필 기자입니다.



<기자>

버냉키 의장의 발언으로 외국인과 기관들이 채권시장에서 물밀 듯이 빠져나가면서 회사채 시장이 급속히 냉각되고 있습니다.



현재 회사채 시장의 가장 큰 문제는 수요 부족으로, 거래단위가 해외시장에 비해 크다 보니 기관을 포함해 참여할 수 있는 투자자가 국내 시장 상황에서는 제한적이라는 점입니다.



우량기업은 둘째 치고 취약업종의 자금조달이 우려되자 금융당국도 분주해 집니다.



<인터뷰> 신제윤 금융위원장

“회사채 시장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건설, 해운, 조선 등 경기순응 업종의 회사채 상환능력 위축되고 있다. 회사채시장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고 적기에 시행할 수 있도록 준비해 달라”



당장 다음달부터 연말까지 만기도래 회사채만 19조8천억원에 달하고 부실우려가 있는 `BBB` 이하 등급 물량만 3조원에 육박하는 등 상황은 녹록치 않습니다.



금융당국이 꺼내들 수 있는 카드로는 회사채 신속인수제와 채권안정펀드 만기연장, 적격기관투자가 제도 개선, 하이일드 펀드 활성화 등 과거에 이미 나왔던 방안들입니다.



금융위원회는 “새로운 안이 포함될 수 있지만 아직 정해진 바는 없다”며 “모든 수단을 검토중”이라고 답했습니다.



적격기관투자자 제도는 근본적인 한계점, 유동성을 직접 투하하는 회사채 신속인수제는 시장의 방향성과 다르게 정책이 결정될 수 있고 신용보강에 따른 공적자금이 투입된다는 부담이 있습니다.



<인터뷰> 회사채 시장 관계자

“어떻게 보면 기업 내용으로 봐서는 한계기업이어서 시장에서 퇴출되는 것이 더 시장효율성에 의해서 바람직함에도 불구하고 신속인수제가 도입되면 정책실패. 정부실패 발생 가능성이 있다”



당국은 12% 이상에 달하는 고금리에라도 회사채가 발행이 되면, 즉 시장기능이 작동하기만 한다면 성급히 나서지 않는다는 입장으로 최악은 아니라는 판단인 셈입니다.



금융당국이 “안정화대책을 준비하고 시기를 고민하라”는 금융수장 등의 언급을 통해 시장의 공포감 차단에 나서고는 있지만 최근 시장 흐름을 볼 때 코멘트 만의 효과는 미미한 수준.



일각의 신중론에도 불구하고 회사채 시장 안정화 방안이 시행되면 STX사태 등 각종 악재로 위축된 BBB 이하 등급의 기업들은 자금조달에 숨통이 트이는 것은 분명해 집니다.



때문에 단기효과도 중요하지만 섣불리 나설 타이밍이 아니라면 중장기적으로 체질 개선을 위한 계기로 삼아야한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인터뷰> 윤석헌 숭실대 금융학부 교수

“중장기적으로 회사채시장 살릴 수 있는 여건 마련하는 것인데 일시적으로 정부가 개입하면 일시적 해결에 도움이 되지만 시장을 튼실하게 만드는 그렇게 기여할 것 같지 않다”



전문가들은 당국이 최악을 대비한 카드를 남겨두는 모양새지만 늘상 외부요인에 휘둘리는 회사채 시장에 대한 강도 높은 대책을 마련해 유동성 위기에 따른 연쇄 후유증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습니다.



한국경제TV 김정필입니다.


김정필기자 jpkim@wowtv.co.kr
한국경제TV 핫뉴스
ㆍ2NE1 불화설, 씨엘 "산다라박이 6년 만에 처음 화내"
ㆍ이창훈 아내 공개, 16살 미모 연하 아내 딸 효주까지 `눈길`
ㆍ한혜진 혼인신고, 25일 기성용과 함께...`사실상 부부`됐다
ㆍ오수현 결혼, 신랑은 4살 연상의 금융맨 `달콤한 신혼`
ㆍ코스닥 `투매` 5% 급락..480선 턱걸이
ⓒ 한국경제TV,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