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 원대대표가 대기업의 불법·불공정 행위를 이례적일 정도로 강도 높게 비판하고 나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재계 안팎에서는 CJ그룹 비자금 및 탈세의혹에 대한 검찰 수사와 기업에 대한 사회적 비난이 고조되는 조세피난처 역외탈세 의혹으로 인한 불똥이 튀지 않을까 긴장하는 분위기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4일 국회 본회의 교섭단체대표연설에서 "대기업들의 불법 불공정 행위가 도를 넘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어 "유전무죄 무전유죄 관행을 뿌리뽑기 위해 대기업 총수와 경영가 저지른 중대 범죄에 대해서는 사면권을 엄격히 제한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최 원내대표는 "최근 모 대기업이 해외에 유령법인을 설립해 불법 비자금으로 자사의 주가를 조작하고, 조세피난처에 페이퍼컴퍼니를 설립해 탈세를 시도한 혐의로 조사받고 있다"며 "이러한 행위는 경제민주화라는 거창한 말을 갖다 붙일 필요도 없이 사회정의 차원에서 엄단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그의 이런 발언은 수사가 아직 끝나지 않은 기업에 대한 비판으로는 전례없이 강도가 높다는 평가다.

최 원내대표는 또 "한국의 빌 게이츠를 꿈꾸며 개발한 기술을 헐값에 대기업에 빼앗기고, 대형포털업체들이 콘텐츠 제공업체를 상대로 단가를 후려치고, 대기업이 투자-제작-배급까지 독식하는 것이 우리 산업의 현 주소"라며 "이 구조를 그대로 두고는 한국의 잡스, 저커버그, 스필버그는 탄생할 수 없다"고 역설했다.

이는 국내 유력 대기업들이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한 '갑을' 관행을 앞세워 중소기업들의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을 신랄하게 꼬집은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최 원내대표의 이런 발언은 실명을 언급하지는 않았으나 사실상 특정기업을 지목한 것이나 마찬가지여서 해당 기업들은 어떤 영향이 미칠지 노심초사할 것으로 보인다.

재계 한 관계자는 "일부 대기업들에서 나타나는 잘못된 관행을 개선하기 위한 자성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하지만 "입법을 통한 제도 개선은 수사 등을 통해 정확한 실태 파악을 토대로 진행해야 한다"며 "일부 기업의 부정행위를 전체 기업에 해당하는 것으로 확대 해석하는 것은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abullapi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