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 탈북고아 추방도 '탈북자 체포조' 개입 가능성

라오스에서 이례적으로 탈북 고아 9명이 추방된 사건은 북한이 김정은 체제 들어 탈북자 통제를 강화한 것과 관련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북한 김정은 체제는 주민 동요를 막으려고 탈북자 차단에 총력을 기울여왔고, 특히 한국에 정착했던 탈북자들을 재입북시켜 기자회견을 하는 등 탈북자 유인·납치공작을 부쩍 강화했다.

이 때문에 지난 27일 라오스 당국이 탈북고아 9명을 추방하는 과정에 북한 대사관이 개입한 것도 탈북자 납치공작의 전형적인 사례로 보는 시각이 있다.

복수의 대북 소식통은 29일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직접 탈북자 대책을 챙긴다"며 "김정은 체제 들어 중국 당국의 묵인하에 중국 내에서 활동하는 국가보위부 해외반탐처 소속 '탈북자 체포조'의 인원도 이전보다 훨씬 더 많아졌다"고 전했다.

김용화 탈북난민인권연합 대표는 "연길, 단둥, 선양 지역에 상주해있는 보위부 체포조는 150명이나 된다"라며 "이들 중에는 한국행을 원하는 탈북자로 위장한 여성들이 많다"고 말했다.

중국에서 활동하는 탈북자 체포조의 임무는 탈북자들의 한국행 루트를 탐색하고 직접 중국 외 3국에까지 가서 탈북자들을 붙잡아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탈북자들은 이번 라오스의 탈북고아 강제추방 과정에서도 탈북자 체포조가 직접 개입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그동안 탈북자 대부분은 중국 외 3국에서 경찰에게 붙잡히더라도 중국으로 단순 추방되거나 한국 대사관에 넘겨졌으며 이번처럼 북한 공관에 넘겨진 적은 한 번도 없었다.

이는 김정은 체제 들어 탈북자 체포조의 활동 범위가 더 넓어지고 공작 방법도 훨씬 더 공세적으로 전환됐기 때문이라는 게 일부 탈북자의 주장이다.

김정은 체제 들어 북-중 국경 통제도 훨씬 강화됐다.

북한은 최근 국경 근처 함경북도 고무산 지역에 검문 초소를 새로 설치하는 등 북한 주민이 국경으로 이동하는 것도 엄격히 통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탈북자의 한국행을 돕는 사람들에 따르면 탈북자가 요즘 북-중 국경을 넘으려면 북한 국경경비대원에게 중국 돈 3만 위안(약 550만 원)이 넘는 돈을 줘야 한다.

북한 주민이 탈북하기 위해 청진 등 다른 지역에서 회령, 무산 등 국경지역으로 오려면 북한 내 브로커에게 미화 2천∼2천500 달러를 줘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용화 대표는 "김정일 시대에는 국경 도강 비용이 한국 돈 100만 원 정도였는데 김정은 체제 들어 도강비용이 껑충 뛰었다"며 "탈북을 방조하는 국경경비대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 지금은 600만 원을 줘도 도강을 돕겠다는 군인을 찾기 어렵다"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국경경비대 군인이 탈북자 3명 이상을 잡으면 노동당 입당과 '국기훈장 1급' 등의 포상을 한다며 최근에는 소대장 이상의 장교를 통하지 않으면 탈북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윤일건 기자 yooni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