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새로운 50년 출발]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 "뱃길·하늘길에 부산 미래 달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조선·플랜트 신시장 개척"
“부산의 미래는 뱃길 하늘길을 여는 데 달려 있습니다. 부산뿐 아니라 경남, 울산 기업인들과 힘을 합쳐 새로운 물류강국 동남권을 만드는 데 힘을 쏟겠습니다.”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사진)은 29일 “부산의 가장 큰 장점은 해양도시라는 점과 조선기술이 세계적 수준이라는 점”이라며 “조선산업이 불황이긴 하지만 북극항로시대가 열리는 점을 기대하면서 새로운 조선기술과 시장 개척으로 서둘러 시장을 차지할 수 있는 준비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상의가 오는 6월 중에 북극항로와 부산산업과의 연관관계 용역을 발주해 10월까지 결과가 나오면 다양한 토론과 연구를 거쳐 실행에 옮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유형의 쇄빙선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조선기자재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입니다. 북극항로 크루즈관광도 물론 이뤄집니다. 기술력 있는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서둘러 집중적으로 시장을 장악해나가야 합니다.”
조 회장은 북항항로는 부산의 미래의 꿈이라고 강조했다. 또 6월13일 경남 상의와 함께 동남권 경제블록 활성화를 위해 동남권경제협의회 창립대회를 열고 북극항로와 기계산업 등의 동반 성장 틀을 함께 마련해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조 회장은 “글로벌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비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낙후되기는 시간문제”라고 지적했다. 조선 세계 1위라는 자만감에서 빨리 벗어나 새로운 각오로 신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제조약 규제에 따라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그린선박과 셰일가스 운반선 등이 나와야 합니다. 파나마운하 항로폭이 넓어지는 데 맞춰 새로운 형태의 폭이 더 큰 선박도 서둘러 만들어내야 하죠. 새로운 시장은 늘 있게 마련입니다.”
기업들이 이런 분야의 제품을 만들고 선박을 발주해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정부는 집중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제도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99%가 중소기업인 부산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대기업과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산업환경을 정부가 조성해줘야 합니다.”
조 회장은 조선기자재업체들이 어려운 상황에서 수십억원을 들여 플랜트제품을 만들어내도 대기업이 같은 제품을 만들거나 판로가 없다면 생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대기업과 중기의 상생협력체계를 구축해야 시너지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조선이 불황이지만 플랜트시장은 호황을 맞고 있는 만큼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시급히 황금시장을 차지해야 한다”며 해양플랜트 수리조선소 건설도 준비해야 일자리도 만들어 낼 수 있고, 해양중심지로 힘을 실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 회장은 갈수록 수도권과 지방이 경제와 교육 등 모든 면에서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고 걱정했다. “부산은 그동안 성장이 멈췄다가 공단을 만들어 공동화 현상을 메우고 이제야 산업기반을 구축해 숨을 돌리고 있는 상황인데 정부가 수도권 규제를 풀면 또다시 지방은 고통을 겪을 것이 뻔합니다.
정부가 지방 육성보단 수도권 규제를 풀어 수도권 집중화를 강화해 안타깝습니다. 지역의 생기와 생존을 위해 정부가 제대로 된 정책을 펼쳐주길 바랍니다.”
조 회장은 “1970년대, 80년대 부산의 대표적인 산업이던 신발산업도 추락하다 이젠 새로운 첨단기술로 부가가치를 높이면서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융합시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은 동명목재와 국제그룹, 삼성, LG 등 대기업들이 자리잡고 있던 저력 있는 도시였습니다. 새로운 해양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 개발과 해외마케팅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나가겠습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
조성제 부산상공회의소 회장(사진)은 29일 “부산의 가장 큰 장점은 해양도시라는 점과 조선기술이 세계적 수준이라는 점”이라며 “조선산업이 불황이긴 하지만 북극항로시대가 열리는 점을 기대하면서 새로운 조선기술과 시장 개척으로 서둘러 시장을 차지할 수 있는 준비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부산상의가 오는 6월 중에 북극항로와 부산산업과의 연관관계 용역을 발주해 10월까지 결과가 나오면 다양한 토론과 연구를 거쳐 실행에 옮길 것”이라고 덧붙였다.
“새로운 유형의 쇄빙선 같은 고부가가치 선박이 필요하고 이에 따른 조선기자재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입니다. 북극항로 크루즈관광도 물론 이뤄집니다. 기술력 있는 정부와 지자체, 기업이 서둘러 집중적으로 시장을 장악해나가야 합니다.”
조 회장은 북항항로는 부산의 미래의 꿈이라고 강조했다. 또 6월13일 경남 상의와 함께 동남권 경제블록 활성화를 위해 동남권경제협의회 창립대회를 열고 북극항로와 기계산업 등의 동반 성장 틀을 함께 마련해 추진해나갈 계획이다.
조 회장은 “글로벌 환경 변화에 민첩하게 대비하지 않으면 경쟁에서 낙후되기는 시간문제”라고 지적했다. 조선 세계 1위라는 자만감에서 빨리 벗어나 새로운 각오로 신시장을 개척해야 한다는 것이다. “국제조약 규제에 따라 선박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그린선박과 셰일가스 운반선 등이 나와야 합니다. 파나마운하 항로폭이 넓어지는 데 맞춰 새로운 형태의 폭이 더 큰 선박도 서둘러 만들어내야 하죠. 새로운 시장은 늘 있게 마련입니다.”
기업들이 이런 분야의 제품을 만들고 선박을 발주해 신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정부는 집중적으로 자금을 지원하고 제도를 마련해줘야 한다고 그는 강조했다. “99%가 중소기업인 부산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중소기업 제품을 만들 수 있도록 대기업과 협력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산업환경을 정부가 조성해줘야 합니다.”
조 회장은 조선기자재업체들이 어려운 상황에서 수십억원을 들여 플랜트제품을 만들어내도 대기업이 같은 제품을 만들거나 판로가 없다면 생존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대기업과 중기의 상생협력체계를 구축해야 시너지를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조선이 불황이지만 플랜트시장은 호황을 맞고 있는 만큼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시급히 황금시장을 차지해야 한다”며 해양플랜트 수리조선소 건설도 준비해야 일자리도 만들어 낼 수 있고, 해양중심지로 힘을 실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조 회장은 갈수록 수도권과 지방이 경제와 교육 등 모든 면에서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고 걱정했다. “부산은 그동안 성장이 멈췄다가 공단을 만들어 공동화 현상을 메우고 이제야 산업기반을 구축해 숨을 돌리고 있는 상황인데 정부가 수도권 규제를 풀면 또다시 지방은 고통을 겪을 것이 뻔합니다.
정부가 지방 육성보단 수도권 규제를 풀어 수도권 집중화를 강화해 안타깝습니다. 지역의 생기와 생존을 위해 정부가 제대로 된 정책을 펼쳐주길 바랍니다.”
조 회장은 “1970년대, 80년대 부산의 대표적인 산업이던 신발산업도 추락하다 이젠 새로운 첨단기술로 부가가치를 높이면서 새로운 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며 “새로운 아이디어와 기술력을 융합시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산은 동명목재와 국제그룹, 삼성, LG 등 대기업들이 자리잡고 있던 저력 있는 도시였습니다. 새로운 해양환경이 조성되고 있는 만큼 기업들이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품 개발과 해외마케팅 지원에 총력을 기울여나가겠습니다.
부산=김태현 기자 hyu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