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프로스 후속 조치, 이탈리아 문제 등 논의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 재무장관들이 12일 아일랜드 더블린에서 재정, 금융 위기 국가 구제 방안을 논의한다.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이날 오전(현지시간) 먼저 회의를 가진 후 나머지 유럽연합(EU) 10개국 재무장관이 합류하는 EU 재무장관 회의에 참석한다.

13일에는 각국 중앙은행장이 모이는 연석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EU 순회 의장국인 아일랜드에서 열리는 이번 회의에서는 키프로스에 대한 구제금융 합의 후속조치와 아울러 이탈리아, 슬로베니아, 포르투갈 등 역내 다른 위기국가 대책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키프로스가 구제금융 제공 조건을 이행하고 있는 지 여부를 평가하고 다음 달로 예정된 첫번째 자금 지원을 승인할 계획이다.

키프로스는 지난 달 채권단으로부터 100억 유로의 구제금융을 받는 조건으로 부실 은행을 정리하기로 합의했다.

유로그룹(유로존 재무장관 협의체)은 논란 끝에 양대 부실은행의 10만 유로가 넘는 예금에 최대 40%의 헤어컷(손실)을 부과하는 까다로운 조건을 달았다.

그러나 구제금융 합의 이후 키프로스 경제를 살리기 위한 금액이 더 늘어난 것으로 전해졌다.

EU 집행위원회와 유럽중앙은행(ECB)의 평가보고서는 키프로스에 투입될 자금이 3년간 230억 유로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이런 상황 변화에 따라 이번 유로존 재무회의에서는 10만유로 이상 예금의 헤어켓 비율을 60% 선으로 높이는 방안이 제기될 것으로 관측통들은 보고 있다.

유로존 재무장관들은 2월 총선 이후 정국 혼란이 계속되고 있는 이탈리아의 국채 부담 증가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탈리아에서는 정부 구성이 지연됨에 따라 경제 개혁이 지연되고 있으며 정국 불확실성으로 인해 국채 조달 비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유동성 위기에 처한 포르투갈에 대한 지원 방안과 슬로베니아의 은행 부실 문제도 의제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이번 회의를 앞두고는 탈세 방지를 위해 은행에 대한 감독을 강화하고 은행 간 계좌정보를 교환하는 방안이 당면 현안으로 부상했다.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 등 역내 주요 5개국은 탈세 방지를 위해 은행 정보를 상호 교환하는 데 합의했다.

또한 조세회피처로 꼽히는 룩셈부르크가 이에 동참할 의사를 밝혀 유럽 국가 은행들의 비밀주의 영업 방식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브뤼셀연합뉴스) 송병승 특파원 songb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