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위서 자율의사에 맡기는 식으로 당론 해지될 듯

민주통합당은 14일 의원총회에서 종편 출연금지 당론 해지 여부를 논의했으나 갑론을박만 벌인 채 결론을 또다시 미뤘다.

민주당은 당초 대선 패배 직후인 지난 1월17일 의총에서 이 문제를 매듭지을 예정이었으나 당내 논란 등을 감안, 차일피일 미뤄왔다.

그 사이 일부 의원들의 종편 출연이 이어졌지만 실제적인 제재 조치는 이뤄지지 않아 당론 자체가 유명무실해진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적지 않았다.

은수미 의원은 "개별적으로 잘못된 당론이라고 생각하더라도 당론을 거스르고 종편에 출연할 것이라면 제명이나 징계 등도 감안해야 한다.

그것이 당의 규율"이라며 "더욱이 지금 이 시점에 민주당이 당론을 폐지하겠다는 것은 시기적으로도 부적절하고 정치적 무능력을 보이는 모습"이라는 취지로 비판했다.

정청래, 최민희 의원도 "당론 폐지는 시기상조"라고 가세했다.

반면 황주홍 의원은 "종편 출연을 금지한 것 자체가 문제였다"고 반박했다.

노웅래 의원은 "당론으로 출연금지를 했어도 나갈 사람들은 다 나갔는데 당론을 왈가왈부하는 것 자체가 난센스"라며 "개개인의 판단에 맡기고 왜곡보도 부분은 별도로 대응하자"고 제안했다.

난상토론이 계속되자 민주당은 이 문제를 비대위에 위임키로 했다.

이에 따라 비대위는 이르면 15일 결론을 낼 것으로 전해졌다.

한 비대위 인사는 "개개인의 자율의사에 맡기는 쪽으로 당론을 해지하는 결론이 내려질 가능성이 크다"며 "몇달째 이 문제 하나 결정하지 못하는 것 자체가 무기력한 당의 현주소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이날 의총에서 일부 친노(친노무현) 의원들은 친노·주류측의 대선 패배 책임론에 무게를 둔 대선평가위의 중간평가보고서를 문제 삼았다.

홍영표 의원은 한상진 위원장을 겨냥, "특정인이 결론을 정해놓고 짜맞추기식으로 작성한 보고서다.

채택하면 안된다"며 "반박할 수 있는 증거와 자료를 다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고, 김용익 의원도 "과학적이지 않다.

인정할 수 없다"고 거들었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 박경준 기자 hankson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