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이 자산을 현금화해야 하는 2030년 이후에 대비해 유동화 전략과 자산 매각 전략을 미리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임박해 자산을 매각하려면 이 계획을 아는 투자자들이 미리 움직여 현금화가 어렵거나 자산을 싼 값에 팔 수밖에 없는 상황에 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일 국민연금공단에 따르면 시장경제연구원은 이런 내용을 담은 ‘국민연금기금이 국민경제 및 자본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따른 장기 기금운용 방향’ 연구과제 보고서를 공단에 제출했다. 보고서는 국민연금기금 규모를 성장기(2030년까지), 성숙기(2031~2043년), 이행기(2044~2059년)의 3단계로 구분하고 각 단계에 맞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급속한 고령화는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이를 염두에 둔 자산운용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민연금이 2044년부터 자산을 팔아야 연금을 지급할 수 있으므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보다 훨씬 전에 순차적인 자산 매각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현금화가 쉽지 않은 해외 부동산 등 대체투자는 미리 정리해 둬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앞서 2030년부터는 연금 지급액이 보험료 유입액보다 커지기 때문에 자산을 팔지 않더라도 기금 수익의 일부를 현금화할 수밖에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정부 차원의 대책 마련도 주문했다. 국민연금·개인연금·퇴직연금의 상호 보완관계를 고려한 전반적 제도 개선, 연금액 일부를 실물로 지급하는 방안, 노후복지의 실질적 제고 방안 등을 정부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는 것이다. 2030년까지 이어질 국민연금 성장기에는 채권 대신 주식과 대체투자 비중을 늘려 수익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김용준 기자 juny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