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인당 국민총소득 2만2720弗
지난해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2만2720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이다. 지난해 실질성장률이 2.0%에 그치고, 평균환율이 전년 대비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3년 연속 2만달러대를 유지했다.

27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지난해 명목 GNI는 1277조132억원으로 이를 연평균 원·달러 환율(1126원8전)과 인구(5000만4441명)로 나눈 1인당 GNI는 2만2720달러였다. 국민 1인당 평균 2560만원을 번 것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은 1.0%에 그쳤다.

재정부는 지난해 명목 경제성장률을 3.2%로 전제하고 2011년 GNI(1240조539억원)를 반영해 지난해 명목 GNI를 추산했다. 인구는 2012년 통계청 추계를 기준으로 삼았다.

GNI는 환율 등 교역조건의 변화를 반영, 국민의 평균적인 생활수준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소득지표다.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국내총생산(GDP)과 더불어 한 국가의 경제상황을 살펴볼 수 있는 지표 중 하나다.

한국의 1인당 GNI는 2007년 2만1632달러를 기록, 처음으로 2만달러를 넘어섰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지면서 2년 연속 1만달러대로 떨어졌다가 2010년부터 다시 2만달러 선을 회복했다.

지난해 1인당 GNI 증가율이 2010년 20.7%, 2011년 9.4%에 비해 크게 낮아진 것은 저성장과 함께 환율효과가 겹쳤기 때문이다. 지난해 원·달러 평균환율(1126원8전)은 2011년 1108원과 비교, 1.7% 상승했다.

재정부는 작년 8월에는 경제성장률을 3.3%로 전망해 1인당 GNI가 2만3159달러에 이를 것으로 내다봤지만 성장률이 2.0%로 떨어지면서 실제 1인당 GNI도 전망치보다 439달러 줄었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노무현 정부에선 성장률이 4%를 웃돌고 원화가치가 높아져 1인당 GNI도 빠른 속도로 증가했지만, 작년에는 성장률이 예상치를 밑돌았고 환율도 올랐다”고 설명했다.

그는 “앞으로는 원화 강세가 계속될 전망이어서 1인당 GNI가 늘어나 2016년이면 3만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이는 경제성장률을 연 3%, 물가상승률 연 2%, 원·달러 환율 하락률을 연 5%로 가정해 얻은 추정치다.

재정부 관계자는 “1인당 GNI가 실질적인 의미를 갖기 위해서는 환율효과의 덕을 보기보다는 성장률이 잠재성장률 수준으로 올라서고 실물경기도 회복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심기 기자 sg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