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욱 정책금융공사 사장(사진)은 21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들과 신년간담회를 갖고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의 민영화가 새 정부에서도 추진될 것이라는 전망을 밝혔다.

진 사장은 “새 정부의 공약대로 경남 사천지역을 항공산업 클러스터로 육성하려면 (이 지역에 있는) KAI의 민영화를 전제로 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고 말했다. “클러스터에 투자를 확대하고 연구·개발(R&D)을 이끌어 내려면 (KAI를) 민영화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그는 “다음 정부가 들어서면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협의해야겠지만 원칙은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KAI는 작년 말 유력 인수 후보였던 대한항공이 갑자기 입찰에 참여하지 않아 매각이 중단된 상태다. 대선을 앞두고 KAI 민영화에 대해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박근혜 당선인의 뜻이 전해지면서 유효 경쟁이 이뤄지지 않았다. 이 때문에 새 정부에서는 민영화가 중단되는 것이 아니냐는 시각이 있었다.

진 사장은 정책금융공사가 대주주인 산업은행 민영화에 대해서도 “되돌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산업은행의 직원 마인드나 사업 내용이 이미 민영화돼 있어 다시 국가기관으로 돌아오기 힘들다는 것이다.

그는 “정부가 금융지주회사를 보유하는 것은 그 아래 있는 증권사(대우증권)와 보험사(KDB생명)가 국영이라는 말인데 이 또한 이상하지 않느냐”며 산은 민영화가 예정대로 추진돼야 한다는 뜻을 강조했다.

또 박 당선인의 공약인 선박금융공사 설립과 관련, “19대 국회에서 논의될 것”이라며 “법안에는 정책금융공사가 일부를 출자하는 것으로 돼 있는데 새 정부가 (이 방안대로)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진 사장은 올해 기업에 지원되는 총 12조2000억원 중 3분의 2가량인 7조6000억원을 중소·중견기업 지원에 쓸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이상은 기자 selee@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