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선패배 책임론ㆍ전대 룰 등 놓고 계파간 격돌 예고

민주통합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출범 엿새 만인 18일 대선평가위원장 등 주요 위원장을 인선하면서 `지각 가동'에 들어갈 채비를 갖췄다.

대선평가위와 정치혁신위는 민주당의 과거와 현재에 대한 평가를 통해 미래를 그려나가는 역할을 맡은 만큼, 활동 내용에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그러나 대선 패배 직후부터 노출된 계파 간의 갈등이 비대위 활동의 발목을 잡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는 등 험로를 예고하고 있다.

특히 `친노ㆍ주류 책임론'을 둘러싸고 계파 간 격돌이 예상된다.

향후 전당대회를 통한 새 지도부 선출 등 당 주도권 경쟁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미 이를 놓고 주류-비주류 간 신경전이 수차례 노출되기도 했다.

당 노선에 대한 갈등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중도ㆍ비주류 성향 인사들을 중심으로 중도층 공략을 위해 `우향우'를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당내 `태도 보수' 문화가 문제이지 노선의 문제가 아니라는 반론도 만만치 않은 상황이다.

비대위의 한 축인 전대준비위에서 다룰 모바일 경선의 폐기 여부와 새 지도부 임기 문제를 놓고서도 계파 간 가파른 대립각이 세워질 것으로 전망된다.

각 위원장 및 위원들의 성향도 비대위 활동 방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선평가위원장에 선임된 한상진 명예교수는 대선 기간 `안철수 캠프'의 국정자문단으로 활동해 주목을 받고 있다.

한 명예교수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대선평가에서만큼은 안철수 전 서울대 교수를 지지했다는 사실로부터 영향을 받지 않겠다"면서도 "민주당과 안 전 교수와의 관계는 불가피하게 평가 작업의 주요 부분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혁신위원장인 정해구 성공회대 교수는 `문재인 캠프'에서 새정치위원회 간사로 활동해 새정치위의 주요 활동 내용이 상당히 반영될 것으로 보인다.

당내에서는 대선 패배에 대한 자체 진단이 이어지고 있다.

정동영 상임고문은 전날 YTN 라디오 `뉴스, 정면승부'에 출연해 "조금 심하게 이야기하면 현재의 민주당은 의미가 없다.

존재이유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 던지면서 백지에서부터 민주당을 그려야 한다"며 "좌로 갔느냐, 우로 갔느냐의 문제가 아니라 아래로 가지 못했기 때문에 (대선에서) 진 것"이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4ㆍ11 총선 패배 후 작성된 총선평가보고서를 지도부가 `밀봉'한 것과 관련해서도 비판이 쏟아지고 있다.

원외인사 중심의 국민정당추진 청장년 네트워크는 성명을 내고 "총선평가보고서를 만들고도 덮고 넘어간 데 대해 어떤 사람들이 개입됐는지 철저하게 진상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울연합뉴스) 이광빈 기자 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