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화장품店 불공정 조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동수 위원장, 내년 1~3월 약 4000곳 대상
공정거래위원회가 내년 1~3월 중 화장품 대리점을 둘러싼 불공정행위를 집중 점검한다.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사진)은 지난달 30일 출입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베이비붐 세대에게 재창업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업계를 철저히 안정시켜야 한다”며 “현재 3000~4000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화장품 대리점을 내년 1분기에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장품 가맹점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움이 1206개(작년 말 기준·총 1254개)로 가장 많고, 더페이스샵(516개·총 967개) 이니스프리(318개·총 458개) 에뛰드하우스(202개·총 357개) 스킨푸드(198개·총 454개) 미샤(178개·총 488개) 네이처리퍼블릭(99개·총 201개) 등의 순이다.
김 위원장은 “프랜차이즈업종을 계속 관심있게 보겠다”며 “편의점만 교통정리하면 올해 계획은 마무리된다”고 덧붙였다. 편의점업계에 적용될 모범거래 기준을 연말까지 마련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공정위는 지난 4월에 제빵, 7월에 피자·치킨, 11월에 커피전문점업종의 모범거래 기준을 발표했다. 업종별로 기존 가맹점에서 500~1500m 이내에는 동일 브랜드의 신규 가맹점 출점을 금지하는 게 핵심이다.
궁극적으로는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을 프랜차이즈 업종에 도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CP는 공정거래 자율준수 실적이 우수한 기업에 과징금 감경, 직권조사 면제 등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다.
김 위원장은 또 “값비싼 고어텍스 제품의 유통경로를 들여다보고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번 겨울에 스키장의 ‘소비자 톡톡’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 톡톡’은 소비자가 사용 경험을 토대로 직접 제품을 평가, 스마트컨슈머 홈페이지에 올리는 것을 말한다. 그는 이어 “12월에는 ‘최저가’ 등 낚시성 광고를 하는 쇼핑몰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향후 공정위의 역할 확대 가능성도 시사했다. 정치권에서 공정위의 역할 강화를 요구하는 만큼 새 정부에서 조직과 인력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화장품업계는 일부 규제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자칫 산업이 위축되거나 피해자가 발생할 것을 우려했다. 한 브랜드숍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한 곳에 있는 가맹점주들이 수익을 담보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선 규제가 필요하다”면서도 “화장품 매장은 길거리의 비싼 건물에 들어가기 때문에 초기비용이 많이 드는 산업이어서 빵집처럼 난립할 수 없는 특성을 무시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브랜드숍 관계자는 “화장품 매장은 길거리, 대형마트, 백화점, 면세점, 지하철 등 모든 유통망에 퍼져 있다”며 “단순히 거리를 제한한다거나 명동처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 상권까지 제한하면 오히려 가맹점주와 화장품업체, 고객 모두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주용석/민지혜 기자 hohoboy@hankyung.com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사진)은 지난달 30일 출입기자들과 가진 간담회에서 “베이비붐 세대에게 재창업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프랜차이즈 업계를 철저히 안정시켜야 한다”며 “현재 3000~4000개가 있는 것으로 파악된 화장품 대리점을 내년 1분기에 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화장품 가맹점은 아모레퍼시픽의 아리따움이 1206개(작년 말 기준·총 1254개)로 가장 많고, 더페이스샵(516개·총 967개) 이니스프리(318개·총 458개) 에뛰드하우스(202개·총 357개) 스킨푸드(198개·총 454개) 미샤(178개·총 488개) 네이처리퍼블릭(99개·총 201개) 등의 순이다.
김 위원장은 “프랜차이즈업종을 계속 관심있게 보겠다”며 “편의점만 교통정리하면 올해 계획은 마무리된다”고 덧붙였다. 편의점업계에 적용될 모범거래 기준을 연말까지 마련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공정위는 지난 4월에 제빵, 7월에 피자·치킨, 11월에 커피전문점업종의 모범거래 기준을 발표했다. 업종별로 기존 가맹점에서 500~1500m 이내에는 동일 브랜드의 신규 가맹점 출점을 금지하는 게 핵심이다.
궁극적으로는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을 프랜차이즈 업종에 도입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CP는 공정거래 자율준수 실적이 우수한 기업에 과징금 감경, 직권조사 면제 등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다.
김 위원장은 또 “값비싼 고어텍스 제품의 유통경로를 들여다보고 소비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이번 겨울에 스키장의 ‘소비자 톡톡’을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소비자 톡톡’은 소비자가 사용 경험을 토대로 직접 제품을 평가, 스마트컨슈머 홈페이지에 올리는 것을 말한다. 그는 이어 “12월에는 ‘최저가’ 등 낚시성 광고를 하는 쇼핑몰을 집중적으로 점검하겠다”고 강조했다.
향후 공정위의 역할 확대 가능성도 시사했다. 정치권에서 공정위의 역할 강화를 요구하는 만큼 새 정부에서 조직과 인력 검토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화장품업계는 일부 규제의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자칫 산업이 위축되거나 피해자가 발생할 것을 우려했다. 한 브랜드숍 관계자는 “경쟁이 치열한 곳에 있는 가맹점주들이 수익을 담보받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선 규제가 필요하다”면서도 “화장품 매장은 길거리의 비싼 건물에 들어가기 때문에 초기비용이 많이 드는 산업이어서 빵집처럼 난립할 수 없는 특성을 무시해선 안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브랜드숍 관계자는 “화장품 매장은 길거리, 대형마트, 백화점, 면세점, 지하철 등 모든 유통망에 퍼져 있다”며 “단순히 거리를 제한한다거나 명동처럼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특수 상권까지 제한하면 오히려 가맹점주와 화장품업체, 고객 모두에게 피해가 돌아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주용석/민지혜 기자 hohoboy@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