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감경기 금융위기 이후 최악…당국 회생방안 부심

부실 우려가 있는 중소기업 규모가 작년보다 20% 넘게 늘어난 것은 최근의 경영현황이나 자금사정을 보면 이미 예고된 일이나 다름없다.

글로벌 경기침체 속에서 중소기업의 업황은 꾸준히 하향곡선을 그렸고 비 올 때 쓸 `우산'은 충분하지 못했다.

특히 영세 중소기업의 수익성이 크게 떨어져 중소기업 간 양극화 현상도 나타났다.

13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신용공여 규모 50억~500억원의 중소기업 중 부실 가능성이 있는 세부평가대상 기업은 지난해보다 20% 늘어난 1천356개사로 집계됐다.

구조조정 대상인 CㆍD등급을 받은 기업은 97개로 26% 증가했다.

그 어느 때보다 싸늘한 영업상황을 고려하면 이번 결과는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결과다.

한국은행의 기업경기실사지수(BSI)를 보면 지난달 중소제조업의 업황BSI는 67로 2009년 4월 64 이후 가장 낮았다.

BSI가 기준치인 100에 크게 미달한다는 것은 체감경기가 그만큼 나쁘다는 뜻으로 중소제조업의 체감경기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악이란 의미다.

중소기업의 상반기 매출액 증가율은 2010년 22.0%에서 2011년 7.7%, 2012년 4.2%로 내려앉았다.

채무상환능력을 나타내는 이자보상배율은 2.6배에서 2.5배, 2.4배로 떨어진 반면, 부채비율은 76.3%에서 76.7%, 79.9%로 올랐다.

매출은 시원찮은데 채무는 늘어남에 따라 빚 갚을 능력이 점점 떨어지고 있는 것이다.

연 매출액 100억원 이하의 영세 중소기업의 상황은 더욱 어둡다.

영세 중소기업의 상반기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해 3.3%에서 올해 -13.2%로 고꾸라졌다.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26.3%에 이어 올해 -35.9%로 마이너스가 심화하고 있다.

이자보상배율은 -3.6배로 영업이익을 다 써도 이자를 갚지 못하는 상황이다.

위기에 대비할 실탄도 충분치 못하다.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을 선호함에 따라 중소기업 주식과 회사채 발행이 대폭 감소했기 때문이다.

올해 1~9월 중 중소기업 주식ㆍ회사채 발행액은 모두 5천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2조원의 4분의 1 토막이 났다.

은행의 중소기업 자금공급 규모는 30조원으로 지난해보다 5조2천억원 늘었지만, 최근의 어려운 상황을 고려하면 충분하다고 말하긴 어렵다.

세계적인 불황에 따른 중소기업의 어려움이 가시화하자 금융당국도 지원책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다음 달부터 중소기업 금융이용 실태에 대한 심층분석에 들어간다.

주요 점검내용은 중소기업의 자금이용 경로, 업종별ㆍ용도별 자금 사정과 수요, 기업경영ㆍ재무상황, 금융권 자금지원 동향 등이다.

금융위는 중소기업 금융애로 실태에 대해 은행권, 연구기관, 관련 기관 등과 공조해 심층분석한 뒤 개선할 점이 발견되면 특단의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금감원은 C등급 업체에 대해 신속하게 워크아웃을 추진해 경영정상화를 모색하하고, 은행에는 중소법인 대출을 늘리도록 지도할 방침이다.

2009년 이후 구조조정된 중소기업은 1천39개사다.

C등급 기업은 526개 중 71개사가 경영정상화했고, D등급 513개사는 법원을 통해 기업회생절차 등을 밟았다.

이기연 부원장보는 "주채권은행이 책임지고 정상화를 유도하게 할 방침이다.

또 동산담보대출을 활용해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여건을 개선하고 2, 3차 중소 협력업체에 대한 상생보증부대출을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구조조정 대상 기업에서 제외된 B등급 업체 중에서도 일시적으로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있으면 패스트트랙(신속금융지원제도) 프로그램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eu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