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혁신ㆍ국민연대 방향'이 핵심 내용

민주통합당 문재인, 무소속 안철수 대선 후보가 금주 중 새로운 정치의 청사진을 제시하기 위한 새정치 공동선언을 발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두 후보가 6일 첫 단일화 회동 후 합의한 발표문에 따르면 새정치 공동선언에는 새 정치와 정권교체에 동의하는 양쪽 지지자들을 크게 모아내기 위한 정당혁신의 내용과 국민연대의 방향이 들어간다.

양측은 정당혁신을 비롯한 정치쇄신 분야의 경우 후보 간 공약이 크게 다르지 않아 결론 도출에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을 전망이다.

이르면 9일, 늦어도 11일 발표 가능성이 점쳐진다.

국민연대의 방향은 양측의 지지층을 결합하기 위한 방법론이자 정계개편의 가능성을 점쳐볼 수 있는 소재여서 관심을 모으지만 원론적 언급에 그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새정치 핵심은 정당개혁과 기득권 타파 = 문 후보 측 정해구 새로운정치위원회 간사는 7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양 캠프의 정치쇄신 공약 중 비슷한 것이 80%는 되지 않을까 싶다"고 말했다.

2~3일이면 충분히 결론을 낼 수 있다는 뜻이다.

공동선언의 핵심은 정치혁신과 정당개혁, 기득권 내려놓기로 요약될 전망이다.

두 후보도 단독회동 발표문에서 "정권교체를 위해서는 새 정치와 정치혁신이 필요하고, 정치혁신의 첫 걸음은 정치권이 먼저 기득권을 내려놓는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밝혔다.

그동안 두 후보는 서로의 정치혁신 구상을 밝히는 경쟁 속에 치열한 설전을 벌이기도 했지만 입장차를 좁혀가는 모양새를 취해왔다.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주고 중앙당을 폐지 내지 축소하자는 안 후보의 요구에 대해 문 후보는 국회의원 공천권을 시도당에 이양함으로써 중앙당의 중앙집권적 구조를 완화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안 후보의 국고보조금 축소 제안에 대해 문 후보는 당의 정책기능 강화를 위한 보조금 추가투입 등 해법을 모색하고 있다.

대통령과 국회의 기득권 포기, 권력기관 개혁과 반부패 척결에는 양 후보 모두 공감대를 형성한 단계다.

물론 마찰을 빚을 소지도 있다.

안 후보는 300명인 국회의원 정수 자체를 줄이자고 제안했지만 문 후보는 정수를 그대로 두고 권역별 비례대표를 도입하는 방식으로 지역구 의원을 줄이자는 입장이다.

안 후보는 여야 대결구도 해소를 위해 강제당론제를 폐지하자고 요구했지만 문 후보는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국민연대 방향의 수위는 = 두 후보가 공동선언에 포함시키고자 한 국민연대의 방향이 어떤 형태로 나올지 관심사다.

민주당 기반인 문 후보와 중도층ㆍ무당파에 강점인 안 후보의 지지층을 단일화 이후에도 이탈자 없이 고스란히 안고갈 수 있는 방법론에 해당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안 후보의 민주당 입당, 공동정부를 고리로 한 연대ㆍ연합, 신당창당 등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대선 이후 정계개편의 가능성과 그 방향을 시사할 민감한 소재라는 것이다.

안 후보는 전날 회동에서 문 후보가 "신당 창당 등 언론에 여러 얘기가 나오는데 어떤 방식을 생각하고 있느냐"고 묻자 "어떤 방식이든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안 후보 측은 "안 후보가 이미 5일 전남대 강연에서 한 표현"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지만 안 후보가 세력 간 연합과 통합 논의에 적극 임할 수 있음을 피력한 것으로 해석돼 주목된다.

그러나 새정치 공동선언에 구체적인 연합ㆍ통합의 그림을 제시하기는 어렵다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

양측간 협력의 수준을 놓고 큰 입장차가 존재하는데다 사안의 성격상 며칠 만에 결론을 낼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이유에서다.

따라서 정권교체와 정치혁신을 위해 양측의 지지자가 힘을 모아야 하고 그 협력은 정권교체 이후에도 계속돼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 표명이 이뤄질 가능성이 제기된다.

안 후보는 전남대 강연에서 "모든 개혁세력이 힘을 모아 같이 맞설 때 정권교체가 가능하고 정권교체 이후에도 원만한 개혁을 이루고 새로운 시대를 이뤄나갈 수 있다"며 국민연대의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류지복 이광빈 기자 jbryoo@yna.co.krlkbi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