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별로는 순익의 최고 13배 배당

10대 재벌 그룹들이 비상장 계열사에서 거액의 배당잔치를 벌이는 행태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일부 기업에서는 배당액 규모가 당기순이익의 13배에 달했다.

25일 연합뉴스와 재벌닷컴이 2010∼2011 회계연도 10대 그룹 소속 592개 상장사와 비상장사의 배당현황을 분석한 결과, 비상장사(499개) 배당성향은 2년간 41.21%로 집계됐다.

배당성향은 배당총액을 당기순이익 규모로 나눈 값이다.

순이익의 거의 절반을 배당으로 돌려준 셈이다.

반면, 상장사의 배당성향은 평균 15.25%로 비상장사의 3분의 1 수준에 그쳤다.

이에 따라 외부 지분이 높은 상장사에서는 배당을 적게 하고 총수일가가 절대적 지분을 보유한 비상장사에서는 고배당을 했다는 지적이 가능하다.

그룹별로는 삼성 비상장사들의 배당성향이 평균 59.20%로 가장 높았다.

특히 삼성탈레스는 2011년 순이익이 8억1천100만원에 불과한데도 102억8천700만원을 배당해 배당성향이 무려 1천268%에 달했다.

삼성에 이어 SK(55.66%), 두산(53.08%), GS(39.99%), LG(31.28%), 현대차(19.75%), 한진(11.84%), 롯데(11.11%), 현대중공업(8.43%) 등 순으로 배당성향이 높았다.

한화 소속 비상장사는 도합 378억원의 순손실을 보고도 660억원을 배당해 `마이너스'(-) 배당성향을 기록하기도 했다.

이 기간 10대 그룹 비상장 계열사는 총 23조2천86억원의 순수익을 올렸고, 9조5천651억원을 배당했다.

연도별로는 2011 회계연도 비상장사 배당성향이 36.29%로 2010년(46.61%)에 비해 10.32%포인트 낮았다.

작년 말 유로존 재정위기가 심해지면서 국내 기업들이 전반적으로 배당을 축소한 데 따른 결과로 보인다.

다만, 배당성향 50% 이상의 고액 배당을 실시한 비상장사의 수는 2010년과 2011년 모두 28개로 동일했다.

배당성향이 100%를 넘어 순수익보다 배당이 많은 회사의 수는 2010년 디아이피홀딩스(336.6%), 토파스여행정보(235.4%), 두산건설(190.8%), 한화투자증권(170.3%) 등 4개에서 2011년 삼성탈레스(1천268.4%)와 에프엔유신용정보(360.4%), 엔셰이퍼(290.9%), SK E&S(139.5%), 하이자산운용(115.5%) 등 5개로 늘어났다.

서울대 행정대학원 박상인 교수는 "총수 일가가 비상장사를 현금 마련을 위한 `캐시카우'로 이용했다는 의심이 든다"면서 "이런 행태는 기업의 가치나 전체 주주의 이익 극대화가 아닌 총수일가의 이익을 늘리기 위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서울연합뉴스) 황철환 기자 hwangc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