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가 녹색기후기금(GCF)의 인천 송도 유치에 성공했다. 개발 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사업들을 지원하는 GCF는 목표 기금규모만 연간 1000억달러에 달한다. IMF나 세계은행에 버금갈 매머드급 국제기구 유치는 아시아에서는 처음 있는 일이다. 주요 20개국(G20)정상회담이나 유엔안보리 비상임이사국 진출에 이은 또 하나의 개가다. 이명박 대통령은 GCF 유치가 확정되자 바로 송도로 달려갔다. “GCF는 인류에 기여하는 국제기구로 크게 확대될 것이다. 한국이 큰 축복을 받았다”고 자평했다. GCF의 경제적 효과는 연간 3880억원에 이른다는 분석이다. 초기 상주인원만 500명이고, 국제컨벤션도 연간 120차례나 열린다.

올림픽 유치에 비할 바 아니다. 당장 인천은 최대 호재를 만난 분위기다. 당연히 GCF 유치 과정이 순탄했을 리 없다. 마지막까지 독일로 갈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독일의 개도국 지원금이 월등하게 많았기 때문이다. 결정적으로 기여한 것은 역시 MB가 직접 정상외교에 나섰기 때문이다. 대통령이 외국 정상들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 호소했고 그 결과 4, 5개국 대통령이 막판에 입장을 바꿨다는 후문이다.

MB의 외교적 성과는 GCF 유치만이 아니었다. 이미 프랑스로 결정났다며 장관도, 총리도 포기했던 아랍에미리트(UAE) 원전건설 수주를 우리 쪽으로 되돌린 것도 MB였다. G20 정상회의를 국제적 논의의 구심체로 만들고 의장국 지위까지 거머줬던 것도 MB외교가 아니었으면 어려웠을 것이란 평가다. 보수와 진보가 갈려 친미냐 친중이냐로 싸우고 있지만 미국, 중국과의 외교관계가 지금처럼 동시에 좋았던 적은 드물었다. MB식 외교가 일궈낸 결과들이다.

그러나 앞으로가 문제다. 차기 정부를 이끌 대선후보들의 외교정책 공약들이 비전은커녕 실로 위험스럽기까지 하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을 운운하는가 하면 북한과의 한반도 경제를 들먹이며 대양이 아닌 동북아의 뒷골목으로 후퇴하려는 조짐이 역력하다. 그런 폐쇄적 외교로는 생존조차 담보할 수 없다. MB의 외교적 성과를 누가 이어갈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