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형씨 檢조사때 "빌린 현금 6억 청와대 붙박이장 보관" 진술
부동산업자·농협 청와대 지점 직원 등 잇따라 소환

이명박 대통령의 내곡동 사저부지 의혹 사건 특검팀(이광범 특별검사)이 이 대통령의 큰형인 이상은(79) 다스 회장에게 귀국을 요청하는 한편 이 회장의 부인에게도 출석을 요구했다.

이광범 특별검사는 19일 "(이상은 회장 측에) 일찍 들어와도 좋겠다는 의사를 간접적으로 전달했다"고 말했다.

특검팀은 이 대통령의 아들 시형(34)씨 측 변호인을 통해 이 회장과 연락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수사 개시 전날 출국한 이 회장이 귀국하는 대로 소환해 시형씨가 이 회장으로부터 빌렸다는 현금 6억원 등 부지매입 자금의 출처를 집중 추궁할 계획이다.

특검팀은 또 이 회장의 부인 박모씨에게 21일 서울 서초동 특검 사무실에 출석할 것을 통보했다.

박씨는 애초 건강상 이유를 들어 출석 거부의사를 밝혔다.

그러나 결국 소환요구에 응하겠다는 뜻을 전하고 현재 특검 측과 일정을 조율 중이다.

특검팀은 박씨의 소환 이유에 대해 "돈을 전달하는 과정에 개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시형씨는 앞선 검찰 서면조사에서 매입대금 12억원 중 6억원은 모친 김윤옥 여사 명의의 서울 논현동 땅을 담보로 농협 청와대 지점에서 대출받았고 나머지 6억원은 이 회장에게서 현금으로 빌렸다고 진술했다.

시형씨는 특히 이 회장에게서 빌린 현금 6억원을 청와대 관저 붙박이장에 보관했으며, 김세욱 전 청와대 총무기획관실 행정관이 이 돈으로 부지매입 대금을 송금한 뒤 은행이자와 세금을 납부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김 전 행정관도 불러 사실관계를 확인할 방침이다.

김 전 행정관은 지난 8월 미래저축은행 측으로부터 1억2천만원 상당의 금괴 2개를 받은 혐의로 구속된 상태다.

특검팀은 시형씨가 김 여사 명의 땅을 담보로 6억원을 대출받은 과정을 확인하기 위해 이날 오후 농협 청와대 지점 직원 2명을 불러 조사했다.

특검팀 관계자는 "자금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농협 직원을 참고인 자격으로 불렀다"며 "자금 흐름을 본격적으로 들여다볼 것"이라고 말했다.

특검팀은 또 사저부지 계약에 관여한 부동산중개업자 2명을 참고인 자격으로 소환 조사했다.

부지 매도인 유모(56)씨를 대리한 A부동산 관계자는 "(상대편 부동산에서) 정원딸린 넓은 집을 찾는다는 전화가 왔었다"며 "9필지를 54억원에 통으로 거래한 것이 사실이며, 구매비용은 매수자 측에서 필지별로 어느 정도 분배해왔다"고 말했다.

그는 "매도인은 54억원만 받으면 된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시형씨와 청와대 경호처가) 돈을 어떻게 나눠 내기로 했는지는 전혀 알지 못한다"고 덧붙였다.

시형씨와 청와대 경호처를 대리한 B부동산 관계자는 취재진 질의에 응하지 않았다.

B부동산 측은 육군 대장 출신인 김인종(67) 전 청와대 경호처장과 친분이 있어 부지매입 작업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B부동산 관계자가 경호처 직원 김태환(56)씨와 함께 부지매입 작업 전반에 걸쳐 관여한 것으로 보고 시형씨와 경호처의 땅값 분담비율을 정하게 된 경위와 분담비율이 적정했는지 등을 따져 물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20일 청와대 경호처 실무직원 이모씨와 기획재정부 국유재산관리 담당 직원을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기획재정부는 최근 시형씨 명의로 된 사저 부지를 사들여 기획재정부 명의로 변경한 바 있다.

(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김동호 기자 kind3@yna.co.krd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