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정부는 파생상품 거래에 대해 세금을 물리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다음 설명 중 틀린 것은?

① 파생상품은 기초가 되는 자산의 가격 변동에 따라 그 값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뜻한다.

② 기초자산은 크게 통화(FX), 금리, 주식 등 금융상품과 농축산물, 비철금속, 귀금속, 원유 등 실물상품으로 나뉜다.

③ 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론 선물과 옵션, 스와프 등이 있다.

④ 선물은 거래 대상 품목과 계약단위, 만기일 등이 표준화돼 있는 선도(Forward)와 표준화돼 있지 않지만 매매 당사자 간 다양한 거래가 가능한 선물(Futures)로 구분된다.

⑤ 코스피200주가지수 선물과 옵션이 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로 정부가 거래세를 부과하려는 건 이들 상품의 투기적 거래가 많아 이를 억제하기 위해서다.


해설

파생상품은 기초가 되는 자산(기초자산·underlying asset)의 가격 변동에 따라 그 값이 결정되는 금융상품을 뜻한다. 기초자산은 크게 △통화(FX) 금리 주식 등 금융상품과 △농축산물(옥수수 쌀 소맥 설탕 생돈 등), 비철금속(구리 아연 알루미늄 등), 귀금속(금 은 백금 등), 원유 등 실물상품으로 나뉘며 대표적인 파생상품으론 선물과 옵션, 스와프 등이 있다. 파생상품이 거래되는 곳은 거래단위, 결제조건 등이 표준화돼 유형의 장소(거래소)에서 거래되는 장내시장과 거래단위나 결제조건 등이 표준화돼 있지 않고 거래당사자 간 협의해 결정하는 장외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미래 특정일에 특정 상품을 거래하는 선물은 계약단위 등이 표준화돼 있는 선물과 그렇지 않은 선도거래로 나눌 수 있다. 정부가 파생상품에 거래세를 물리려는 것은 투기적 거래를 억제하기 위한 것이다.

정답 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