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번역원과 함께하는 인문학 산책] 정조의 한강 건너기 프로젝트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강 폭·지형 고려한 '한강 주교'…설계 맡은 장인·배 제공한 상인
3박자 어우러진 조선 최고 다리
신병주 < 건국대 교수 >
3박자 어우러진 조선 최고 다리
신병주 < 건국대 교수 >
1776년 집권 노론 세력의 집요한 반대를 뚫고 왕위에 오른 정조는 즉위 직후 아버지 사도세자의 추숭 작업에 진력했다. 양주 배봉산(현재의 서울시립대 근처)에 있던 영우원(永祐園)을 수원으로 옮겨 현륭원(顯隆園)이라 했고, 화성(華城)을 조성해 개혁을 상징하는 중심 도시로 만들었다. 정조는 아버지 묘소를 옮긴 후 자주 행차에 나섰다.
정조의 화성행차에서 가장 큰 문제로 다가온 것은 한강을 건너는 일이었다. 정조는 대규모 행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배다리 건설을 지시했다. 1789년 배다리 건설을 주관하는 관청인 주교사(舟橋司)가 설치됐고, 묘당(廟堂)에서는 《주교절목(舟橋節目)》을 만들어 정조에게 보고했다. 그러나 정조는 그 계획이 치밀하지 못하다고 조목조목 비판하고 직접 《주교지남(舟橋指南)》을 써서 배다리를 놓는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 《정조실록》 정조 14년(1790년) 7월1일 기록에 나와 있다.
정조의 명을 받은 서용보, 정약용 등은 1795년 2월24일 《주교지남》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최고의 배다리 건설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배다리가 건설된 곳은 노량 지역. 동호(지금의 동호대교 일대), 빙호(지금의 동빙고, 서빙고 지역) 등이 함께 물망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노량이 선정됐다.
《주교지남》에서도 첫 번째 고려 대상이 ‘지형’으로, 정조가 가장 심혈을 기울인 점이 배다리를 놓을 위치에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주교지남》의 기록을 보자.
‘첫째 지형이다. 배다리를 놓을 만한 지형은 동호 이하부터 노량이 가장 적합하다. 왜냐하면 동호는 물살이 느리고 강 언덕이 높은 것은 취할 만하나 강폭이 넓고 길을 돌게 되는 것이 불편하다. 빙호는 강폭이 좁아 취할 만하나 남쪽 언덕이 평평하고 멀어서 물이 겨우 1척만 불어도 언덕은 10척이나 물러나가게 된다. (…) 그러므로 이들 몇 가지 좋은 점을 갖추고 있으면서 이들 몇 가지 결함이 없는 노량이 가장 좋다.’
배다리 건설에 지형 다음으로 고려된 것은 강의 폭이었다.
‘둘째는 물의 넓이다. 선척의 수용을 알려면 반드시 먼저 강물의 넓이가 얼마인가를 정해야 한다. 노량의 강물넓이가 약 200수십 발이 되나(발은 기준이 없으나 지척(指尺) 6척을 한 발로 삼는다) 강물이란 진퇴가 있으므로 여유를 둬야 하니 대략 300발로 기준을 삼아야 한다.’
정조는 이어서 배다리에 사용할 배의 선택과 동원할 배의 숫자에 대한 절목을 제시했다. 배는 한강을 드나드는 경강선을 활용했다. 배에 번호를 부여해 필요할 때마다 조달한 것도 주목된다.
배다리에 활용된 배는 가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한 다음 이들 배를 막대기로 연결해 전체가 하나로 연결될 수 있게 했다. 배다리는 가운데가 높은 아치형으로 제작됐다. 배들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소나무 판자를 이용해 횡판(배를 가로지르는 판자)을 만들었고, 송판 위에는 사초(莎草·잔디)를 깔았다.
배다리의 폭은 24척(약 7.2m). 정조가 한강을 건너는 장면을 그린 ‘한강주교환어도(漢江舟橋還御圖)’를 보면 최대 9명이 일렬로 한강을 건너는 것을 볼 수 있다. 배다리의 양편에는 난간을 설치해 안전성을 꾀했다. 또 배다리의 양끝과 중간 부분에 세 개의 홍살문을 세웠다. 홍살문은 다리의 시작과 끝, 중심을 표시함과 동시에 왕이 행차하는 신성한 공간임을 강조했다.
정조 때의 배다리 구상과 건설 과정은 《주교절목》과 《주교지남》을 통해 기록으로 정리됐으며, 김홍도가 중심이 돼 그린 8폭의 병풍 중 ‘한강주교환어도’로 남아 있다. 실학 정신을 바탕으로 치밀하고 과학적으로 설계된 배다리, 그 설계를 바탕으로 배다리 건설을 성공시킨 관료들과 장인들, 배다리 건설에 적극 협조한 경강상인…. 이들 모두의 합작으로 조선 최고의 배다리가 완성될 수 있었다.
배다리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은 화성 건설과 함께 과학과 실학정신이 만개했던 정조 시대의 문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신병주 < 건국대 교수 >
▶원문은 한국고전번역원(itkc.or.kr)의 ‘고전포럼-고전의 향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정조의 화성행차에서 가장 큰 문제로 다가온 것은 한강을 건너는 일이었다. 정조는 대규모 행차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배다리 건설을 지시했다. 1789년 배다리 건설을 주관하는 관청인 주교사(舟橋司)가 설치됐고, 묘당(廟堂)에서는 《주교절목(舟橋節目)》을 만들어 정조에게 보고했다. 그러나 정조는 그 계획이 치밀하지 못하다고 조목조목 비판하고 직접 《주교지남(舟橋指南)》을 써서 배다리를 놓는 기본 원칙을 제시했다. 《정조실록》 정조 14년(1790년) 7월1일 기록에 나와 있다.
정조의 명을 받은 서용보, 정약용 등은 1795년 2월24일 《주교지남》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최고의 배다리 건설 프로젝트를 완성했다. 배다리가 건설된 곳은 노량 지역. 동호(지금의 동호대교 일대), 빙호(지금의 동빙고, 서빙고 지역) 등이 함께 물망에 올랐으나 최종적으로 노량이 선정됐다.
《주교지남》에서도 첫 번째 고려 대상이 ‘지형’으로, 정조가 가장 심혈을 기울인 점이 배다리를 놓을 위치에 있었음을 알 수가 있다. 《주교지남》의 기록을 보자.
‘첫째 지형이다. 배다리를 놓을 만한 지형은 동호 이하부터 노량이 가장 적합하다. 왜냐하면 동호는 물살이 느리고 강 언덕이 높은 것은 취할 만하나 강폭이 넓고 길을 돌게 되는 것이 불편하다. 빙호는 강폭이 좁아 취할 만하나 남쪽 언덕이 평평하고 멀어서 물이 겨우 1척만 불어도 언덕은 10척이나 물러나가게 된다. (…) 그러므로 이들 몇 가지 좋은 점을 갖추고 있으면서 이들 몇 가지 결함이 없는 노량이 가장 좋다.’
배다리 건설에 지형 다음으로 고려된 것은 강의 폭이었다.
‘둘째는 물의 넓이다. 선척의 수용을 알려면 반드시 먼저 강물의 넓이가 얼마인가를 정해야 한다. 노량의 강물넓이가 약 200수십 발이 되나(발은 기준이 없으나 지척(指尺) 6척을 한 발로 삼는다) 강물이란 진퇴가 있으므로 여유를 둬야 하니 대략 300발로 기준을 삼아야 한다.’
정조는 이어서 배다리에 사용할 배의 선택과 동원할 배의 숫자에 대한 절목을 제시했다. 배는 한강을 드나드는 경강선을 활용했다. 배에 번호를 부여해 필요할 때마다 조달한 것도 주목된다.
배다리에 활용된 배는 가로로 엇갈린 형태로 배치한 다음 이들 배를 막대기로 연결해 전체가 하나로 연결될 수 있게 했다. 배다리는 가운데가 높은 아치형으로 제작됐다. 배들의 설치가 끝난 후에는 소나무 판자를 이용해 횡판(배를 가로지르는 판자)을 만들었고, 송판 위에는 사초(莎草·잔디)를 깔았다.
배다리의 폭은 24척(약 7.2m). 정조가 한강을 건너는 장면을 그린 ‘한강주교환어도(漢江舟橋還御圖)’를 보면 최대 9명이 일렬로 한강을 건너는 것을 볼 수 있다. 배다리의 양편에는 난간을 설치해 안전성을 꾀했다. 또 배다리의 양끝과 중간 부분에 세 개의 홍살문을 세웠다. 홍살문은 다리의 시작과 끝, 중심을 표시함과 동시에 왕이 행차하는 신성한 공간임을 강조했다.
정조 때의 배다리 구상과 건설 과정은 《주교절목》과 《주교지남》을 통해 기록으로 정리됐으며, 김홍도가 중심이 돼 그린 8폭의 병풍 중 ‘한강주교환어도’로 남아 있다. 실학 정신을 바탕으로 치밀하고 과학적으로 설계된 배다리, 그 설계를 바탕으로 배다리 건설을 성공시킨 관료들과 장인들, 배다리 건설에 적극 협조한 경강상인…. 이들 모두의 합작으로 조선 최고의 배다리가 완성될 수 있었다.
배다리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은 화성 건설과 함께 과학과 실학정신이 만개했던 정조 시대의 문화를 압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신병주 < 건국대 교수 >
▶원문은 한국고전번역원(itkc.or.kr)의 ‘고전포럼-고전의 향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