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산업전쟁] 현대차, 그린카 질주 준비는 끝났다…"미래 성장엔진 만들 것"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몽구 회장 "시장 변화 능동대응…친환경차·전자제어 기술 확보하라"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카 양산과 전기차 개발에 R&D 역량 집중
플러그 인 하이브리드카 양산과 전기차 개발에 R&D 역량 집중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글로벌 자동차 업체들은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그린카’ 개발에 역점을 두고 투자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올초 신년사에서 “시장의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친환경차 개발과 첨단 전자제어 분야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현대·기아차는 하이브리드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전기차, 수소연료전지차 등 다양한 친환경차 기술을 바탕으로 그린카 시장 선점에 나설 계획이다.
○세계 최초 병렬형 하이브리드카 개발
하이브리드카는 연비 향상과 배기가스 저감을 위한 가장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이브리드카는 내연기관과 전기차의 장점을 조합해 연비효율을 높인 차량이다. 현대·기아차는 2009년 준중형 세단인 ‘아반떼’와 ‘포르테’ LPI 하이브리드카를 내놓고 전기모터·인버터·컨버터·배터리 등 4가지 핵심 전기동력부품의 독자 개발 및 국산화에 성공했다. 지난해 출시된 ‘쏘나타’와 ‘K5’ 하이브리드는 현대·기아차의 첫 양산형 가솔린 하이브리드 모델이다.
현대·기아차는 하이브리드카보다 한 단계 더 전기차에 가까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 양산화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현대차는 2009년 서울모터쇼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전용 컨셉트카인 ‘블루윌(Blue-Will, HND-4)’을 내놓았다. 블루윌은 1회 충전 시 모터만으로 최대 64㎞까지 주행할 수 있다. 배터리 전력 소모 후 하이브리드 모드로 주행하면 당 21.3~23.4㎞를 달릴 수 있다. 현대·기아차는 현재 블루윌을 기반으로 한 양산형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를 개발 중이다.
하이브리드카와 함께 차세대 친환경차로 주목받고 있는 차량은 전기차(EV·electric vehicle·)다. 고전압 배터리에서 만들어진 전기에너지를 전기모터로 공급,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무공해 차량이다.
현대·기아차는 ‘그린카 4대 강국 진입을 위한 친환경차 개발 계획’을 발표하면서 2009년 독일 프랑크푸르트모터쇼에 ‘i10’ 순수전기차를 공개했다. 지난해에는 기아차의 경형 CUV(크로스오버유틸리티차량) 모델인 ‘레이’에 전기차 시스템을 탑재한 ‘레이 전기차(EV)’를 내놓았다. 레이 EV는 50㎾의 모터와 16.4㎾h의 리튬이온 배터리를 장착한 고속 전기차다. 이 모델은 국내 최초로 일반 차량과 같은 라인에서 생산되는 양산형 전기차다.
기아차는 지난해 레이 EV를 소량 생산한 데 이어 올해는 2500대를 만들어 정부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보급할 계획이다. 현대·기아차는 준중형급 전기차 개발에 연구·개발(R&D) 역량을 집중해 2014년 상반기 기아차가, 2015년 하반기에는 현대차가 각각 준중형 전기차를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세계적인 수소연료전지차 기술 확보
현대차는 2000년 ‘캘리포니아 연료전지 시범사업’에 참여하면서 싼타페를 모델로 한 연료전지차를 처음 내놓은 후 연구·개발을 추진해오고 있다. 수소연료전지차는 수소와 공기중의 산소를 직접 반응시켜 전기를 생산하는 연료전지를 이용하는 자동차로 물 이외의 배출가스를 발생시키지 않는다.
연료전지차의 가장 중요한 기술은 1회 충전 시 주행거리를 향상시킬 수 있는 고압의 수소 저장 능력이다. 현대차는 세계 최초로 350기압 수소 충전에 성공한 데 이어 700기압 압축 수소탱크도 개발했다. 2010년 3월 스위스 제네바모터쇼를 통해 투싼ix 수소연료전지 절개차를 최초 공개했다. 이후 설계와 시험평가를 거쳐 차량 개발을 마치고 유럽 주요 국가에 시범적으로 공급하고 있다.
현대차 관계자는 “2018년에는 하이브리드와 연료전지차 등에서 8조7000억원의 생산유발 효과와 4만6000명의 일자리 추가 창출이 가능해 질 것으로 전망된다”며 “친환경차량은 고부가가치 핵심 산업으로 국내 자동차 산업은 물론 국가의 미래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최진석 기자 iskra@hankyung.com